조기입학 ‘글쎄’… “2월생은 학업부진”

조기입학 ‘글쎄’… “2월생은 학업부진”

입력 2010-06-09 00:00
업데이트 2010-06-09 05: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특목고엔 태어난 달 늦은 학생 적어

초·중·고교의 같은 학년이라도 3월생은 학업성취도가 높고 이듬해 2월생은 부진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정부가 지난해 저출산 대책으로 내놓은 초등학교 1년 조기 입학 방안이 아동의 학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는 논문이어서 주목된다.

고려대 교육학과 홍후조 교수팀(김대석 변자정)은 8일 ‘학생의 생월과 학업성취의 관계-제도적 학습부진아의 발견과 월령(月齡) 효과의 대응 방안 모색’이라는 논문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월령효과란 학생이 태어난 달이 몇 월인지가 학업성취도를 비롯한 각종 교육 결과에 미치는 효과를 말한다.

홍 교수가 2006년 고교 1학년생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학업성취도 국제비교(PISA) 성적과 생월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3월생과 이듬해 2월생의 평균 성적차이는 20∼25점이고 표준편차는 약 80점이었다.

분석단위가 생월 집단일 때 상관의 크기는 .765(수학) .789(읽기) .833(과학)으로 완전한 상관도를 갖는 1.0에 가까웠으며 개인 단위로 분석한 경우도 상관도가 .065(수학) .066(읽기) .084(과학)로 크기는 작지만 통계적으로 의미 있었다.

중학교 2학년생이 2007년 시행한 수학ㆍ과학 성취도 추이변화를 국제비교 연구(TIMSS)로 분석한 결과에서도 3월생과 이듬해 2월생의 평균 성적차가 영역별로 10점 정도 났고 표준편차는 수학은 89점, 과학은 72점이었다.

TIMSS 성적과 생월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자 생월 집단이 분석 단위일 때 상관크기는 .872(수학), .897(과학)로 매우 높았고 분석단위가 개인인 경우 .044(수학), .063(과학)의 상관도를 보였다.

PISA와 TIMSS 성적 모두 하위 25% 집단에 생월이 늦은 앳된 학생이 많았고, 상위 25% 학생들은 월령차가 거의 없었다.

하지만 국제고, 외고, 국제중고, 과학고 등 5개 학교의 월령별 재학생 수를 조사한 결과 1분기에 태어난 학생은 552명(30.2%)인데 반해 4분기는 338명(18.5%)에 불과했다.

중학교 집단 전체에서 학생을 선발하는 특목고에서 1분기에 태어난 입학생수가 많은 점으로 미뤄볼 때, 상위군 학생 중에도 왜소한 학생은 월령차에 따른 차별을 견디지 못하고 중간층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홍 교수는 설명했다.

홍 교수는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월령효과가 계속 나타난 것은 인지적 학습준비가 덜 된 앳된 아동이 무분별한 입학, 특히 조기 입학을 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며 “입학 이후 적극적으로 차이를 바로 잡아주지 않는 교육 정책에 문제가 있다. 교육선진국이라면 초등 3-4학년에서 월령효과는 사라진다”고 지적했다.

그는 “월령효과를 차단하려면 취학전 학교준비과정(head start) 제공, 취학준비도에 대한 전문적 판단 과정 도입, 출생 분기별 반 구성 등으로 학습부진을 막는 한편, 장기적으로는 학기제 입학 정책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