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로호 발사 연기] 美 작년 7번 시도끝 성공 印선 발사 1초전에 중단

[나로호 발사 연기] 美 작년 7번 시도끝 성공 印선 발사 1초전에 중단

입력 2010-06-10 00:00
업데이트 2010-06-10 0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주선진국 발사 연기 사례

나로호(KSLV-I) 2차발사가 소방설비 오작동이라는 변수를 만나 연기됐지만, 전문가들은 “로켓 발사 연기는 전 세계적으로도 빈번한 현상이어서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관계자는 “발사 15분 전 자동발사 시퀀스(Sequence)에 돌입한 이후라도 이상 징후를 감지하면 발사 1초 전에도 멈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수십 차례 로켓 발사에 성공한 우주선진국에서도 발사 중단으로 연기된 사례는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포토] “돌아갑시다” 나로호 발사연기에 발길돌린 관람객들

미국 우주왕복선 ‘엔데버호’는 2009년 6월13일 연료주입 지상설비 문제로 발사가 중단된 뒤 연료, 기상 등의 문제가 잇따라 발생, 6차례 연기 끝에 발사에 성공했다.

유럽연합(EU)의 ‘아리안-V’는 2006년 2월21일 발사될 예정이었지만 지상장비 이상으로 3일 후인 24일로 연기됐고, 이어 위성회로 이상 여부 확인을 위해 3월9일로 다시 연기됐다. 이후 ‘아리안-V’는 3월9일 발사 카운트다운이 시작된 상황에서 발사체 상단의 압력이 떨어져 또 발사 중단됐으며, 3월11일 네 번째 시도에서 마침내 발사에 성공했다.

일본 발사체 ‘H2A’ 역시 2003년 9월27일 자세계측장치(관성센서 유닛) 내 전압변환기에서 오신호가 발생, 발사 직전에 중단됐다.

인도 발사체 ‘GSLV’도 2001년 3월28일에 액체엔진 부스터의 오작동으로 발사 1초 전에 중단됐고, 2007년 9월2일에는 발사 15초 전 갑작스러운 정전으로 발사가 멈췄다. 하지만 위성이 예정보다 낮은 궤도에 진입하는 데 그쳐 발사는 절반의 성공에 머물렀다.

진호 경희대 우주과학과 교수는 “발사체는 한 치의 오차만 발생해도 언제든지 중단될 수 있을 만큼 민감하기 때문에 완벽하게 준비를 갖추어야 비로소 발사에 이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미국 최초의 위성발사체인 ‘뱅가드호(Vanguard)’는 1957년 12월6일 탱크 및 인젝터의 압력이 낮은데도 발사를 강행, 연소실의 고온가스가 인젝터를 통해 연료시스템으로 새어 들어가 발사 2초 만에 폭발했다.

또 지난 2002년 러시아의 ‘소유즈호’도 발사 29초 후에 엔진이 폭발해 공중폭파됐다. 브라질 발사체 ‘VLS’도 2003년에 발사 준비 도중에 폭발, 연구원 21명이 사망했다.

이영준기자 apple@seoul.co.kr

2010-06-10 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