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범용사에 듣는다]“아들도 공군… 2代복무 자랑스럽죠”

[모범용사에 듣는다]“아들도 공군… 2代복무 자랑스럽죠”

입력 2010-06-17 00:00
업데이트 2010-06-17 01: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군 17전투비행단 김 진 한 원사

“친구 따라 강남 간다고 했는데 제가 바로 그런 격입니다.”

서울신문사와 국방부가 선정한 모범용사 김진한(50·공군 제17전투비행단 항공급유지원반장) 원사는 28년 전 군에 입대하게 된 계기를 ‘함께 군대 가자는 친구의 권유’라고 말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 고향에서 2년간 직장에 다니던 중 친한 친구가 공군에 지원했다며 함께 가자고 권유하는 말에 고민하지 않고 따라나섰다.

●친구따라 나섰다가 어느덧 28년

이미지 확대
김진한 원사
김진한 원사
고향이 강원 영월군 주천면으로 김 원사는 청년이 될 때까지 군인이라곤 육군밖에 보지 못했다. “공군은 사실 구경도 못했죠. 산골인 데다 휴전선에서 멀지 않은 곳이다 보니 육군만 보고 자랐거든요. 처음에는 공군이 뭐하는 군인인지도 몰랐죠. 친구가 가자니까 그냥 따라나섰다가 그게 그만 천직이 되고 말았죠.”

하지만 그를 공군으로 이끈 친구는 건강이 좋지 않아 불합격했다. 졸지에 ‘낙동강 오리알’이 된 셈이다. 성격이 낙천적인 그는 그래도 후회하지 않고 그대로 공군에 눌러앉았다. “막상 입대하니까 ‘이게 공군이구나.’라는 느낌이 확 다가왔죠. 넓은 활주로와 창공을 가르는 전투기의 엔진소리가 가슴을 뚫어주는 것 같았습니다.”

김 원사는 자신이 알게 된 공군의 모든 것을 고향으로 돌아가 이웃 사람들에게 전했다. 그러면서 공군을 “더욱 사랑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고향에서 멀지 않은 강릉기지를 첫 근무지로 배치받아 10년간 근무했다. 강릉기지 근무 중에 동해 잠수함 침투 사건과 각종 재해 현장에도 출동하기도 했다.

그는 현재 항공급유지원반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전투기 연료를 급유해 주는 팀의 팀장이다. 앞서 전투기의 긴급 발진을 위한 팀을 담당하기도 했다. 훈련이 있거나 긴급 상황이 발생해 임무가 주어지면 전투기가 출동하기 2시간 전부터 부지런히 움직여야 한다. 그러다 보니 새벽부터 출근하거나 야간 비행이 있는 날은 전투기들의 훈련이 끝나고 난 뒤에도 몇 시간이 더 지나야 퇴근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아내와 3남매의 자는 모습만 보기 일쑤였다. 그래서 지금도 가족들에게 미안한 마음이 크다고 털어놨다. “별을 보고 출근해 별을 보고 퇴근했죠. 그저 가족들에게 미안할 따름입니다. 가족들이 이해해 주는 것만으로도 늘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이들도 올바르게 잘 커서 고맙기도 하고요.”

●“별 보고 출근해 별 보고 퇴근”

고비도 있었다. 김 원사가 2002년부터 2005년 사이에 원사 진급을 위한 준비를 할 때다. 관제부대 경험이 없던 그가 가족과 떨어져 근무하면서 모두가 힘들었다고 한다. 당시에 아이들이 고등학생, 중학생 사춘기 시절이었다. 떨어져 지내다 보니 가족들 모두에게 힘들었다고 한다. “아빠가 옆에 없었다는 게 아이들에게도 힘든 시기였죠.” 그때 많이 힘들어했던 아들 동영(21)씨는 공군의 항공과학고등학교를 졸업해 2009년 공군 부사관으로 임관했다. 2대가 함께 공군에 근무하고 있어 자랑스럽다고 김 원사가 미소 짓는다. 동영씨는 현재 경남 사천 제3훈련비행단에서 조종사들의 시뮬레이션 훈련과 관련한 분야에서 근무하고 있다.

오이석기자 hot@seoul.co.kr
2010-06-17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