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소득 높다고 행복할까?

국민소득 높다고 행복할까?

입력 2010-07-02 00:00
업데이트 2010-07-02 13: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행복은 소득과 어느 정도 관련성이 있긴 하지만 미국처럼 국민 소득이 높은 나라에 산다고 해서 무조건 최고의 행복도를 누리는 것은 아니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크리스천사이언스모니터(CSM)는 1일(현지시각) ‘인격.사회심리학회지(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최근호에 게재한 갤럽의 조사결과를 소개했다.

 연구진은 행복의 개념을 ‘전반적 행복도’과 ‘삶을 얼마나 즐기고 있는가’ 두 가지로 크게 나눈 뒤 2005∼2006년 전 세계 132개국에 사는 13만6천명을 조사했다.

 조사결과 분석을 통해 연구자들은 전반적 행복도는 소득과 강한 상관관계를 갖지만 삶을 즐기는 정도는 자신의 능력 발휘,사회적 지지 획득 같은 사회·심리적 필요의 충족 여부에 달렸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행복 정도를 지수화해 비교해본 결과 전반적 행복도는 덴마크가,삶을 즐기는 정도는 뉴질랜드가 각각 1위를 차지했다.

 그렇지만 미국은 전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중 하나지만 전반적 행복도는 16위,삶을 즐기는 정도는 26위에 그쳤으며 한국 또한 소득 수준에 비해서는 행복도 지표가 떨어지는 나라로 조사됐다.

 반면 코스타리카는 낮은 소득에도 국민이 느끼는 행복한 정도나 삶을 즐기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사회·심리적 웰빙’이라고 할 수 있는 ‘삶을 즐기는 정도’가 소득수준이 높은 서구유럽 국가들보다 남미 지역에서 높게 나타난 점에 주목했다.

 반면 가난에 시달리는 아프리카 국가에 사는 응답자들은 대체로 두 가지 행복 척도에서 모두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CSM은 “경제학자들은 돈이 사람들의 기본적 필요를 충족시켜주기 때문에 낮은 소득 수준에서는 수입 증가가 행복도를 끌어올리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면서 “이번 연구는 돈과 행복의 상관관계는 기본적 필요를 초월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영국 워윅비즈니스스쿨의 앤드루 오스왈드 교수는 “행복이 무엇을 뜻하는지 이제 막 껍질을 벗겨낸 것일 뿐”이라며 “관련 연구가 앞으로 200년은 더 진행돼야 행복의 의미를 밝혀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