쏟아붓다가 뚝…한국형 ‘새끼스콜’

쏟아붓다가 뚝…한국형 ‘새끼스콜’

입력 2010-08-12 00:00
업데이트 2010-08-12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회사원 이모(28)씨는 10일 신기한 경험을 했다. 오후 6시 30분쯤 서울 은평구 녹번동에서는 마치 퍼붓듯 굵은 빗방울이 떨어지더니 광화문 인근에 다다르자 거짓말처럼 비가 그쳤다. 이씨는 “사무실에서 나와 고작 주차장까지 가는데도 옷이 흠뻑 젖을 정도로 쏟아지던 비가 무악재를 넘어서자 한순간 이슬비로 바뀌더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10일 제4호 태풍 뎬무의 영향으로 서울 은평구 일대에 ‘초국지성 호우’가 내리면서 졸지에 3명의 주민이 사망했다. 서울 지역에서 수해로 인명피해가 난 것은 28명이 숨진 2001년 홍수 이후 9년 만에 처음이다.

11일 기상청에 따르면 10일 오후 4~7시 은평구에는 108㎜에 달하는 많은 비가 내렸다. 북한산에는 그보다 많은 130㎜의 폭우가 쏟아졌다. 서울 기준 강수량(24.5㎜)의 4~5배에 이른다. 같은 시각 한라산 인근에는 500㎜, 지리산 인근에는 300㎜의 비가 내렸다. 덥고 습한 공기를 끌고 북상하던 태풍이 산악지형의 ‘수렴대’에 막혀 비를 쏟아낸 것.

최근 이 같은 ‘초국지성 호우’가 잦아지고 있다. 과거 시·군 경계를 두고 소나기가 내렸던 것과 달리 좁은 공간에서 짧은 시간에 한바탕 퍼붓고는 언제 그랬냐는 듯 멈추는 이른바 아열대성 ‘스콜’과 흡사한 형태다.

김승배 기상청 대변인은 “이번 여름에 나타난 소나기의 형태는 ‘새끼 스콜’ 수준이다.”면서 “스콜은 지면에 수증기가 많으면 생기는데, 우리나라도 최근 2~3주간 이 같은 형태의 무더위가 발생하면서 스콜과 유사한 소나기가 내리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스콜은 비의 양이 훨씬 많고, 빗방울도 굵다.”면서 “아직은 한국형 소나기에 가깝다.”고 분석했다. 진기범 예보국장도 “최근 들어 열대성 성질을 지닌 기단이 한반도에 자주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시간당 50~100㎜ 비를 뿌리는 ‘한국형 스콜’이 앞으로 더 잦아질 것이다.”고 전망했다.

태풍 뎬무는 다른 태풍에 비해 한반도와 훨씬 가까운 곳에서 생겼다. 일반적으로 태풍은 괌 인근 위도 10~20도 지역에서 발생해 중국 인근으로 북상하지만, 뎬무는 위도 25도에 해당하는 타이완 근처에서 만들어진 것. 폭염으로 바다의 수온이 높아지면서 태풍이 발달하기 좋은 조건이 만들어진 탓이다.

기상청은 뎬무 외에 추가로 1~2개의 태풍이 한반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진기범 국장은 “북태평양 고기압이 약해지면서 태풍이 발달하기 좋은 조건이 형성되고 있다.”면서 “9월까지는 언제든 태풍이 올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민영기자 min@seoul.co.kr
2010-08-12 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