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뭍과 섬의 소통일꾼… 고되지만 보람”

“뭍과 섬의 소통일꾼… 고되지만 보람”

입력 2010-08-26 00:00
업데이트 2010-08-26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토 최서남단 흑산가거도 우체국 집배원 정승규씨

“외딴 섬마을의 심부름꾼으로 사는 게 즐겁습니다.”

이미지 확대
흑산가거도 우체국의 정승규 집배원이 25일 뭍에서 소포로 도착한 과일, 채소, 가재도구 등 각종 생활 필수품 등을 지게로 져 배달하고 있다.
흑산가거도 우체국의 정승규 집배원이 25일 뭍에서 소포로 도착한 과일, 채소, 가재도구 등 각종 생활 필수품 등을 지게로 져 배달하고 있다.
지난 24일 정오. 국토 서남쪽 끝인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항. 하루 한 차례 드나드는 쾌속 여객선이 파도를 헤치고 들어오자 한 남자의 발길이 바빠진다. 1t트럭을 끌고 온 이 남자는 뭍에서 도착한 소포, 화물 등을 익숙한 손놀림으로 옮겨 싣는다.

주인공은 정승규(42) 흑산가거도 우체국 집배원. 정씨는 육지의 소식을 가장 먼저 주민들에게 알려주는 ‘전령사’이다. 뭍과 섬의 ‘소통 일꾼’이다.

그는 마을 어귀까지만 차량으로 이동한 뒤 소포를 지게에 옮겨 싣고 가파른 언덕길을 오른다. 아무나 하기 힘든 고된 노역이다. 그는 숨을 몰아쉬며 “그래도 어르신들이 물잔을 건네며 ‘수고한다’고 말할 때 모든 피로가 가신다.”고 말했다.

가거도가 고향인 정씨는 고교 졸업후 3년간 도시로 나갔다. 그는 병역을 위해 1990년 고향으로 내려온 뒤 아예 뭍으로 향한 꿈을 접었다. 섬이 좋아 스킨스쿠버 동호회를 배로 실어나르는 ‘가이드’ 역할을 하면서 스킨스쿠버 회원이던 아내를 만났다. 가거도 방파제 공사현장에서 막일을 하던 그는 2006년 우연히 집배원 자리가 생기자 “이게 천직이구나.”하고 옮겼다. 결혼과 함께 ‘집배원 취직’이란 겹경사를 맞았다.

그러나 달콤한 신혼생활은 5년으로 끝났다. 아내가 2년 전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이웃에 형(53)과 누나(48)가 살고 있어 그나마 위안이 된단다.

그는 “개인적인 아픔을 잊고 봉사하는 마음으로 살겠다.”며 “모든 사람들이 마음을 나누고 위로하는 사회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일을 마치고 고샅길을 따라 집으로 돌아가는 그의 발걸음은 가볍기만 하다. 정씨는 “집배원 일이 고되지만 보람이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절해고도의 생활이 외롭지 않다.”고 말했다.

글 사진 가거도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
2010-08-26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