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43% “인터넷매체 자체 검증기능 부족”

대기업 43% “인터넷매체 자체 검증기능 부족”

입력 2010-11-07 00:00
업데이트 2010-11-07 11: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2% “인터넷신문 영향력, 종이신문 능가할 것”

대기업의 46%가 인터넷 언론매체의 오보나 왜곡 보도로 피해를 봤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전경련 경제홍보협의회는 7일 전경련에 가입한 대기업 427곳을 대상으로 인터넷매체에 의한 피해사례를 조사한 결과 응답업체의 46%가 오보·왜곡 보도로,45%는 강압적인 협찬·광고 요구로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인터넷 언론의 문제점으로 43%는 자체 검증기능 부족에 따른 기사 신뢰성 약화를 꼽았고,37%는 클릭 수를 높이기 위한 선정적·낚시형 제목을 지적했다.

 또 17%는 인력부족으로 인한 자체 뉴스 제작 부족을 문제점으로 들었다.

 현재 인터넷 신문사의 숫자에 대해 응답기업의 84%는 너무 많다고 말했고,적당하거나 적다는 응답률은 13%에 그쳤다.

 피해 예방책으로는 50%가 인터넷신문 설립요건 강화와 퇴출제도 정비 등 규제강화를 주문했고,23%는 포털 사이트의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밖에 인터넷 언론 보도로 본 피해에 대한 손쉬운 보상절차를 마련해야 한다는 응답이 21%로 나타났다.

 30대 그룹 홍보실장이 주축인 경제홍보협의회는 이 같은 조사결과를 담은 ‘경제계가 생각하는 인터넷신문 역할과 발전방안’ 보고서를 내놓고 인터넷 신문과 함께 광고주,언론재단 등이 참여하는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가칭)’라는 민간자율적 논의기구를 설립하자고 제안했다.

 보고서는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가 논의할 제도개선 과제로 현행 3인으로 돼 있는 인터넷신문의 취재 및 편집 인력 등록기준을 상향 조정하는 방안과 오보나 왜곡보도가 빈번한 인터넷신문에 대해 일정기간 발행정지,등록취소 등 퇴출을 강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거론했다.

 이와 함께 보고서는 인터넷신문이 장기적으로 언론시장의 주요 매체로 자리 잡을 것인 만큼 지원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응답기업의 42%는 인터넷신문의 영향력이 앞으로 5년 후 종이신문을 능가할 것으로 보았고,종이신문과 대등해질 것으로 전망한 기업은 38%,종이신문에 못 미칠 것으로 본 기업은 20%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79%는 인터넷 신문의 건전한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인터넷신문에 대한 지원책으로는 기자 교육지원 확대,공용인터넷 서버 확충,인터넷신문 발전기금 조성 등이 제시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