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층건물 413곳 소방안전 불량

고층건물 413곳 소방안전 불량

입력 2010-11-18 00:00
업데이트 2010-11-18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국 11층 이상 고층건물 413곳이 소방안전에 심각한 문제점을 드러냈다.

이미지 확대
소방방재청이 17일 국회 행안위 임동규(한나라당) 의원에게 제출한 ‘고층복합건축물에 대한 관계기관 합동안전점검 결과’에 따르면 전국 11층 이상 4955곳 중 413곳(8.3%)이 소방시설 ‘불량’ 판정을 받았다. 전국 고층건물의 방화 시설을 전수조사한 결과가 나온 것은 처음이다.<서울신문 10월 18일자 1면>

방재청은 지난달 1일 부산 해운대 우신골든스위트 화재 이후 지난 5일까지 소방 공무원과 분야별 전문가 등 2135명으로 구성된 합동 점검반을 꾸려 고층빌딩 소방안전 여부를 대대적으로 진단했다.

부산은 723개 건물 중 142곳(19.6%), 인천은 138곳 중 28곳(20.2%), 울산은 103곳 중 24곳(23.3%), 경남은 230곳 중 53곳(23.0%) 등 10개 건물 중 2개꼴로 스프링클러 등 소방시설이 고장 났거나 관리가 부실해 불량 판정을 받았다. 경기는 765곳 중 99곳(12.9%)이 불량 진단을 받았다. 충북은 고층복합건물이 8개밖에 없음에도 5곳의 소방 시설에 문제가 있었다.

방재청은 소화기를 설치하지 않았거나 스프링클러, 화재감지기가 작동하지 않은 사례 557건에 대해 시정명령을 내렸다. 상업 및 주거시설이 분리돼 비워 둬야 하는 피트(PIT) 층을 미화원 휴게실로 사용한 95건에 대해선 기관 통보했다. 피난통로를 폐쇄하는 등 법규를 어긴 8건에는 과태료를 물렸다.

지난달 우신골든스위트 화재는 피트 층에 설치된 미화원 휴게실에서 발생했는데 이번 조사에선 해운대의 다른 3개 건물에서도 피트층 무단 사용이 적발됐다. 임 의원은 “최근 대형빌딩 화재 사건으로 불안감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이런 결과가 나와 우려스럽다.”면서 “소방 당국이 초고층 건물 화재 예방에 더욱 주력하고 건물주들도 책임감을 느끼고 자체 점검에 힘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재연기자 oscal@seoul.co.kr
2010-11-18 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