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따리 메고 어린자녀 손잡고 ‘피난행렬’

보따리 메고 어린자녀 손잡고 ‘피난행렬’

입력 2010-11-25 00:00
업데이트 2010-11-25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평도 주민 이틀째 탈출 러시

인천 해경부두에는 연평도를 ‘탈출’한 주민들의 ‘피난행렬’이 이틀째 이어졌다. 전날 연평도 대피소에서 뜬눈으로 공포의 밤을 지새운 주민들은 24일 인천해경과 해군 등에서 지원한 함정을 타고 인천항을 통해 속속 ‘상륙’했다.
이미지 확대
무사히 육지도착
무사히 육지도착 북한의 추가 포격에 대비해 밤새 대피소에 피신해 있다가 24일 오후 해양경찰청 선박을 타고 인천 해경부두에 도착한 한 연평도 주민이 마중나온 손녀를 안고 해후의 기쁨을 나누고 있다.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오후 1시 30분쯤, 인천 해경 함정 두척이 346명의 주민들을 태우고 해경부두에 도착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항구에서 대기하던 주민 가족 100여명은 초조함을 감추지 못한 채 발을 동동 굴렸다.

16개월 된 딸아이를 분홍색 포대기로 감싸 안고 시어머니를 기다리던 김훈이(32)씨는 “오늘 아침에 처음으로 어머니와 통화가 됐다. 그 전까지 연락이 안 돼 얼마나 가슴이 떨렸는지 모른다.”면서 “빨리 배가 도착해 어머니 손부터 잡아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씨는 “연평해전 등 이전에 있었던 북한의 도발은 주민들에게 직접 피해가 없어 먼 얘기처럼 느껴졌는데 이번에는 마을 집들이 무너지고 산이 불타는 모습을 보니 너무 무섭고 불안하다.”며 고개를 내저었다. 주민들을 실은 해경 312호 함정이 항구에 도착하자 주민들이 쏟아져 내렸다. 얼굴은 하나같이 공포에 질린 표정들이었다. 손에 든 파란색 담요로 얼굴을 감싼 조순애(47·여)씨는 함께 온 초등학교 6학년 딸 박소원(12)양의 손을 꼭 붙잡고 배에서 내렸다.

조씨는 “우리 집이 포탄에 맞아 폭삭 무너졌다. 아무것도 못 챙겨서 나왔다.”며 오열했다. 첫 번째 해경함정을 타고 먼저 부두에 도착한 오여제(83) 할머니는 두 번째 함정을 타고 들어오는 며느리를 기다리며 안절부절못했다. 오 할머니는 “며느리와 함께 배를 타려고 했는데 사람들이 너무 많아 첫 번째 배에 나밖에 못 탔다.”면서 “우리 막내 아들은 아직도 연평도에 있는데 빨리 가족들을 만나고 싶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30분쯤 뒤인 오후 2시 무렵, 172명의 주민을 태운 두 번째 해경함정이 도착하자 부둣가에서는 이들을 기다리던 가족들이 마치 이산가족 상봉하듯 이름을 부르며 애타게 찾는 모습도 보였다.

큰 가방과 보따리 등을 이거나 메고 어린 자녀들과 함께 배에서 내리는 모습은 흡사 전쟁통의 피란민을 연상케 했다. 도착한 주민들은 연평도 부두에서 해경함정을 타기 전의 혼란스러웠던 순간을 기억했다. 윤종균(58)씨는 “아내를 먼저 태우려고 했는데 사람들에게 떠밀려 내가 먼저 배에 타게 됐다.”면서 “아내가 다음 배를 타고 온다고 했지만 떨어지는 순간에는 정말 깜짝 놀랐다.”고 말했다.

초등학생 딸과 함께 인천부두에 먼저 도착한 김영길(49)씨는 “첫 번째 배에는 어린 아이들과 보호자 한명만 우선적으로 탈 수 있었다.”면서 “아이 엄마는 어쩔 수 없이 떨어져 다음 배를 타야 했다.”고 말했다. 이어 오후 3시쯤에는 해군에서 제공한 고속함정을 이용해 또 다른 179명의 주민들이 해경부두에 도착했다.

인천 해경부두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2010-11-25 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