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문가들 “원전 큰 고비 넘긴 듯”

국내 전문가들 “원전 큰 고비 넘긴 듯”

입력 2011-03-20 00:00
업데이트 2011-03-20 11: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본 후쿠시마 원전 일부에 냉각수가 주입되고 있는 것과 관련, 국내 전문가들 사이에 이번 사태가 큰 고비를 넘긴 것으로 보인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장순흥 교수는 20일 연합뉴스와 전화통화에서 “전기공급이 이뤄지지 않았을 때는 매우 암울했는데 정말 다행”이라며 “어제 계산해보니 원자로 바깥의 예벽만 냉각시킬 수 있다면 노심용융물을 냉각시키고 원자로를 보호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고 말했다.

장 교수는 이어 “일본에 있는 원자력 전문가와 통화하면서 가장 중요한 예벽 냉각에 박차를 가하라는 조언을 해줬다”고 덧붙였다.

또 같은 학과 정용훈 교수는 “주입한 냉각수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시키지 않고 응축시켜 물이 되게 한 뒤 다시 주입하면 방사성 물질이 빠져나오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며 “일단은 냉각수를 통해 원자로 안팎의 열을 떨어뜨리는 것이 우선이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이같은 순환시스템을 도입해 방사성 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관계자도 “갑자기 찬물이 들어감으로써 배관에 균열이 생기는 등 일만 벌어지지 않는다면 노심이 물에 잠기고 방사성 물질 배출도 현저히 줄어들면서 진정 국면으로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며 “이제 장기적으로 염분을 없애고 장비를 철거하는 등 후속 모드로 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