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수능성적 2년 연속 전국 최고

제주 수능성적 2년 연속 전국 최고

입력 2011-03-30 00:00
업데이트 2011-03-30 11: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학교 수업의 질 높인 ‘공교육의 힘’

30일 공개된 2011학년도 대입 수능성적 분석결과에 제주지역 학생들의 수능성적이 전 영역에서 전국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그 비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분석 결과 전체 학생의 학력수준을 보여주는 제주도의 영역별 표준점수 평균은 언어(105.3점), 수리가(106.9점), 수리나(106.1점), 외국어(105.7점) 등 4개 영역에서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또 모든 영역에서 상위권이 1∼2등급 비율이 뚜렷이 높지만, 하위권인 8∼9등급 비율은 뚜렷이 낮아 상위권 학생층이 두터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상위권인 1등급 비율은 모든 영역에서 기준 비율(일반계반 재학생 전체의 1등급 비율)보다 높았고, 외국어를 제외한 전 영역의 1등급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점이 눈길을 끈다.

제주는 지난해 공개된 수능성적자료에서도 표준점수 평균이 4개 영역 모두 1위를 차지해 전국적으로 학력을 인증받은 바 있다.

제주의 경우 다른 시도에 비해 학원 등 사설교육기관이 적고 지역적 여건 때문에 교육 관련 정보에서도 뒤처지기 쉽다.

그러나 대학에 가는 것보다 고등학교 진학이 더 어렵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경쟁이 치열한 제주시 평준화 지역 고입전형 제도에다 좁은 지역의 특성상 학생·교사 간 비교가 쉬워 교육열은 어느 지역에도 뒤떨어지지 않는다.

학생들이 고교 입학 전 2개월가량 시간을 허비하는 것을 막고자 각 고교에서 예비교실을 만들어 부족한 공부를 보충하고 상담하는 풍경은 제주에서만 볼 수 있는 진풍경이다.

여기에 수업명인제 등을 통해 ‘수업 잘하는 교사’에 대해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단위 학교별로 학력향상 자체 계획을 수립·시행하는 ‘모다들엉 학력 향상제’를 운영하는 등 학교 수업의 질을 높인 것이 주효했다는 것이 교육청의 분석이다.

제주도교육청 박경민 장학사는 “밤늦게까지 학교에 남아 고생한 교사들의 헌신적 노력에 교육청 차원의 교단 지원 제도가 맞물려 시너지 효과를 낸 것으로 풀이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