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알코올종합대책 ‘파랑새플랜 2010’ 실적 ‘낙제점’

보건복지부 알코올종합대책 ‘파랑새플랜 2010’ 실적 ‘낙제점’

입력 2011-09-27 00:00
업데이트 2011-09-2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건복지부가 알코올중독 등 술로 인한 사회적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종합대책으로 지난 2006년 마련한 ‘파랑새플랜 2010’의 성과가 목표치에 크게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양승조 민주당 의원은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파랑새플랜 2010’에 따라 추진하고 있는 관련시설의 설치와 음주폐해예방사업 등이 당초 목표치에 크게 못 미치고 있으며, 일부 사업은 아예 축소 운영되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복지부는 2006년에 마련한 ‘파랑새플랜 2010’ 계획안에 따라 2010년까지 96개의 알코올상담센터를 설치하기로 했으나 지난해까지 목표치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41곳을 설치하는 데 그쳤다. 알코올 전용 사회복귀시설 설치계획도 목표치인 18곳에 크게 못 미치는 12곳을 설치하는 데 그쳤다. 절주홍보·절주교육·광고모니터링체계 구축 등을 포괄하는 음주폐해예방사업 역시 당초 계획과 달리 세부 사업을 대폭 축소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처럼 사업이 대폭 축소되면서 목표로 삼았던 성과지표도 대부분 달성하지 못했다. 2010년까지 52% 선으로 낮추겠다고 했던 성인음주율은 2010년 현재 59.4%를 유지하고 있고, 15세 이상 1인당 알코올 소비량도 8.4ℓ까지 줄이기로 했지만 8.9ℓ에 머물고 있다. 남성 고도위험음주율, 음주폐해에 관한 국민인식도 등도 목표치에 크게 미달했다.

 이에 대해 양 의원은 예산 지원이 이뤄지지 않은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파랑새플랜 2010’이 시작된 이후 참여정부 때 확보된 2008년 예산은 43억 9400만원이었으나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2009년 예산은 34억 9600만원, 2010년에는 39억 3800만원만 책정됐다. 특히 2010년 예산은 목표예산 335억원의 11.7%에 불과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사업을 확대하기에 충분한 예산이 확보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양 의원은 “음주운전을 비롯, 대학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등에서 음주 관련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면서 “보건당국은 국민건강 차원에서 필요한 예산을 확보해 관련 사업이 축소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소라기자 sora@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