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군기지 설계 오류 사실로 드러나

제주해군기지 설계 오류 사실로 드러나

입력 2012-02-17 00:00
업데이트 2012-02-17 13: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총리실 기술검증위 “재검증 시뮬레이션 필요”

제주해군기지(민ㆍ군 복합형 관광미항)가 15만t급 크루즈 선박이 입ㆍ출항하기에 사실상 부적합하게 설계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해군기지를 오가는 선박의 통항 안정성과 접안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재검증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제주도는 국무총리실 산하 ‘민ㆍ군 복합형 관광미항(제주해군기지) 크루즈 입ㆍ출항 기술검증위원회’(위원장 전준수)가 4차례의 회의를 거쳐 합의한 내용을 토대로 작성한 기술검증 결과보고서를 17일 공개했다.

보고서는 해군기지는 ‘해상교통안전진단 시행지침’에 따라 항만설계 최대 풍속이 초속 14m가 적정하나 초속 7.7m로 설계됐다며 초속 14m로 적용해 선박이 항만에 접안했다가 출항하는 선박 조종 시뮬레이션을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크루즈선의 통항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횡풍압(선박이 옆으로 받는 바람의 압력) 면적도 설계보고서에 나와있는 8천584.8㎡가 아니라 15만t급 크루즈선이 실제로 받는 횡풍압 면적인 1만3천223.8㎡를 적용해 선박 시뮬레이션을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는 해군이 선박 시뮬레이션을 할 때 실제로 적용했다고 주장하는 1만2천515.8㎡보다도 압력 수치가 높다.

또 설계평면도로 보면 항만 입구의 항로 굴곡부 중심선의 곡률 반경과 항로 폭을 고려할 때 여객선이 항만에 입ㆍ출항하기에 적정하지 않다며 항로 법선을 설계기준에 맞도록 현재 77도인 교각(交角)을 완화하도록 권고했다.

보고서는 현재 설계된 이들 조건에서 선박 조종 시뮬레이션의 운항난이도에 대한 자료를 검토한 결과 15만t급 크루즈 여객선이 서방파제를 입ㆍ출항할 때의 운항난이도(기준 1∼7등급)가 각각 7, 6으로 최고 난이도에 해당해 여객선이 자유롭게 입ㆍ출항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기술검증위는 현재의 항만설계를 크게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항만 구조물 재배치와 고마력 예인선 배치를 반영해 선박의 통항 안정성과 접안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선박 시뮬레이션이 필요하다고 정부에 건의했다.

이는 제주도 ‘민ㆍ군 복합형 민항시설 검증 태스크포스’가 지난해 9월 제기한 해군기지 설계의 문제점을 상당 부분 인정한 것이어서 앞으로 상당한 논란이 예상된다.

총리실은 해군기지 항만 설계가 잘못됐다며 제주도가 검증을 요구하자 지난 1월 국회 예결위 조사소위의 권고를 토대로 기술검증위원회를 구성해 같은 달 26일부터 지난 14일까지 4차례에 걸쳐 회의했다.

기술검증위 위원은 정부 추천 전준수 서강대 교수ㆍ김세원 해양대 교수, 국회 추천 김길수 해양대 교수ㆍ박진수 해양대 교수, 제주도 추천 이병걸 제주대 교수ㆍ유병화 대영엔지니어링 전무 등 6명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