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까지 세계 5대 브랜드로 자리매김”

“2020년까지 세계 5대 브랜드로 자리매김”

입력 2012-02-28 00:00
업데이트 2012-02-28 0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권동칠 신임 한국신발산업협회장

“2020년까지 대한민국의 신발 브랜드가 세계 5대 글로벌 브랜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미지 확대
권동칠 한국신발산업협회장
권동칠 한국신발산업협회장
제11대 한국신발산업협회장으로 최근 취임한 권동칠(57) ㈜트렉스타 대표이사는 “대한민국 신발의 위상을 높이고 신발사업이 낙후·사양산업이란 잘못된 인식도 바로잡겠다.”고 27일 밝혔다.

권 회장은 30년 넘게 외길을 걸어온 전문 신발 제조인이다. 지난 8년 동안 신발산업협회 수석부회장을 지냈다. 트렉스타는 한국 아웃도어 브랜드 신발로는 유일하게 40여개국에 수출된다.

협회 운영 방안에 대해 권 회장은 “업계의 화합을 도모하고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신발진흥센터와 긴밀하게 협조해 시너지 효과를 내도록 하겠다.”면서 “부품, 소재산업 부분에서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으며 완제품 업체와 부품 소재 업체가 상생 협력해 모든 부분이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를 추월한 타이완의 신발산업을 잡겠다는 의지도 보였다. 권 회장은 “30년 전엔 8대2로 우리가 앞섰지만 지금은 거꾸로다. 그렇지만 한국은 여전히 경쟁력이 있다. 타이완과 대등한 위치로 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새로운 소재·부품 개발이 절실하다고 했다. 그는 “개인이나 기업이 하기 힘든 만큼 정부나 관련 부처가 중점 육성하고 지원해줘야 한다. 완제품 업체와 소재·부품 업체 간 정보 공유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좋은 부품을 개발해도 완제품 업체에서 모르거나 필요한 부품이 공급되지 않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는 것이다.

신발업계는 논란이 되고 있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효과를 기대한다. 그는 “한·미 FTA 발효 등은 좋은 기회다. 미국, 유럽 등에 수출하는 신발이 8~20%의 관세를 물지 않으면 그만큼 우리에게 이익이다. 현재 중국이나 타이완 등보다 제조비가 5% 정도 더 높다. 이 격차를 줄일 수 있고 나머지 5~15%를 마케팅에 투자한다면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부산 김정한기자 jhkim@seoul.co.kr

2012-02-28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