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시간근로 개선, 포괄임금제 금지해야”

“장시간근로 개선, 포괄임금제 금지해야”

입력 2012-03-06 00:00
업데이트 2012-03-06 14: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장시간근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포괄임금제를 금지하고 교대제도를 개편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배규식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6일 남대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노동연구원 주최로 열린 ‘장시간 노동 실태와 노동시간 단축 토론회’에 주제발표자로 나서 이렇게 밝혔다.

배 연구위원은 장시간근로 개선을 위해서는 우선 포괄임금제를 입법으로 명문화해 금지하고 연장근로시간에 따라 수당을 지급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교대제도 개편과 함께 휴일근로를 연장근로 한도에 포함하고 근로시간 특례업종 근로자들에게 최소 1일 11시간의 연속 휴식시간을 부여하는 방안도 법제화해야 한다고 배 연구위원은 제안했다.

공무원과 공공부문부터 1일 8시간, 주 40시간제를 지키도록 유도하고 전일제 노동을 시간제 노동으로 전환해 노동시간 단축, 일과 가정의 양립을 확산해야 한다는 의견도 내놨다.

장시간근로가 제조업 생산직뿐 아니라 은행업과 같은 서비스업까지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영국 킹스 칼리지 오브 런던 권현지 교수는 ‘서비스산업 노동시간 실태와 노동시간 단축’을 주제로 한 발표문에서 은행의 중간관리직급 이하 노동자들은 1일 평균 11.23시간, 주당 평균 56시간의 장시간근로에 시달리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연장근로 한도인 12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연장근로에 대한 보상마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권 교수는 전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제조업 노동시간 실태, 교대제 개편과 노동시간 단축 등과 관련한 주제발표와 토론도 벌어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