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도스 특검, 경찰청 전격 압수수색

디도스 특검, 경찰청 전격 압수수색

입력 2012-04-04 00:00
업데이트 2012-04-04 10: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디도스 수사담당 부서는 압수수색 못해

지난해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 사건을 수사 중인 박태석 특별검사팀은 4일 경찰청을 전격 압수수색했다.

이미지 확대
경찰청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경찰청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이미지 확대
디도스특검 개소식 뉴시스
디도스특검 개소식
뉴시스
디도스 특검팀은 이날 오전 10시30분께부터 오후 5시까지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 정보통신관리관실(전산센터)에 검사와 수사관 등 8명을 보내 관련 전산자료를 확보했다. 일부 인원은 오후 6시 이후까지 남아 압수수색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특검팀은 형사사법정보시스템인 ‘킥스’(KICS) 운영체제에서 디도스 수사 관련 서류를 압수수색하는 한편 범죄경력조회 내역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정작 디도스 사건의 초기 수사를 담당했던 사이버테러대응센터는 영장 상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수색하지 못했다.

특검팀은 이후 압수물 분석을 통해 디도스 사건과 관련한 지난 경찰 조사에서 사건 은폐 시도가 있었는지 등을 확인할 방침이다.

특검 관계자는 “이번 압수수색은 특검법에 따라 이뤄졌다”며 “의혹에 대한 기초조사를 하기 위한 차원에서 실시됐다”고 말했다.

특검팀은 또 압수물 분석 결과 등을 토대로 디도스 공격을 주도한 혐의(정보통신기반보호법 위반 등)로 기소된 새누리당 최구식 의원의 전 비서 공모(28)씨 등 사건 관련자들과 선관위·통신사 직원 등을 소환 조사할 예정이다.

지난달 26일 본격적으로 발족한 특검팀은 디도스 공격의 배후와 자금 출처, 검·경 수사과정 은폐 의혹 등 지금까지 제기된 의혹에 대해 수사 중이다.

지난달 28일에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관악청사, 선관위 전산 서버 제공업체인 KT 본사 및 LG U+ 네트워크센터 등 전산서버 보관소 5곳을 압수수색하고, 서버 로그기록과 내부 분석 자료 등을 확보하기도 했다.

특검은 박태석(55·사법연수원13기) 특별검사와 최성진 부산지검 형사3부장 등 파견겸사 10명, 파견직원 51명 등으로 구성됐다.

특검은 60일간 수사하고 필요에 따라 수사기한을 30일 한 차례 연장할 수 있다는 특검법에 따라 늦어도 6월 말께 최종 수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검찰 특별수사팀(팀장 김봉석 부장검사)는 경찰이 송치한 공씨 등 5명 외에 박희태 국회의장실 김모(31) 전 수행비서 등 2명을 추가 기소하는 선에서 수사를 마무리했다.

그러나 정치권과 일부 시민단체들은 “공씨와 김씨의 공동범행일 뿐 윗선의 지시가 없었다는 검찰 수사는 축소·은폐 수사”라고 비난한 바 있다.

뉴시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