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 할머니들, 日 정치인들에게 초청장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 日 정치인들에게 초청장

입력 2012-08-28 00:00
업데이트 2012-08-28 11: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역사 진실 보고 함께 식사하며 소통하자”…노다 총리 등 724명에 발송

경기도 광주 나눔의 집에 사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를 비롯한 일본 정치인들에게 자신들을 찾아달라고 초청장을 보내 주목된다.

위안부 피해자 전문요양시설인 나눔의 집은 28일 노다 총리, 하시모토 도루(橋下徹) 오사카 시장, 이시하라 신타로(石原愼太郞) 도쿄도 지사, 중의원 479명, 참의원 242명 등 모두 724명에게 나눔의 집과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을 방문해달라고 초청장을 발송했다.

엽서 형태의 초청장은 한 면에 할머니들의 그림이 인쇄돼 있고 다른 면에 초청문과 주소가 일본어로 적혀 있다.

초청문은 ‘이곳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생생한 역사가 살아 숨 쉬는 나눔의 집입니다. 바쁘신 줄 알지만 한번 방문해 주시지 않겠습니까? 방문하셔서 일본군 위안부 역사에 대한 진실을 보시고 생존해 계신 할머니와 함께 식사도 하며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는 내용을 담았다.

이어 ‘방문 희망 날짜를 알려주세요. 기다리고 있겠습니다’며 방문이 성사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마무리했다.

초청 엽서의 그림은 ‘못다 핀 꽃’, ‘빼앗긴 순정’, ‘끌려감’ 등의 제목으로 할머니들이 심리치료 과정에서 그린 것들이다.

나눔의 집은 일본 정치인이 방문하면 할머니들과의 만남, 역사관 관람, 영상물 상영 등을 통해 위안부 피해 역사를 전할 예정이다. 만일의 상황을 고려해 방문자의 신변 안전 보장도 약속했다.

이번 초청은 최근 한일 외교 갈등 와중에 우익 정치인들의 연이은 위안부 강제동원 부인 발언이 계기가 됐다.

노다 총리는 지난 27일 참의원에 출석,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강제동원한 증거가 없다”고 말해 우리 정부의 반발을 샀다.

차기 총리 후보로 거명되는 하시모토 오사카 시장은 지난 21일 “위안부가 (일본)군에 폭행·협박을 당해서 끌려갔다는 증거는 없다”며 “있다면 한국이 내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지난 24일에는 “군이 위안소를 공적으로 관리했다는 것과 위안부를 강제로 끌고 갔다는 건 전혀 다른 문제”라며 “고노 담화는 애매한 표현으로 일한 관계를 악화시킨 최대의 원흉”이라고 언급했다.

이시하라 도쿄도지사도 “(고노 전 관방장관이) 영문도 모르면서 위안부 모집의 강제성을 인정해 한·일 관계를 망쳤다”며 “가난한 시대에 매춘은 이익 나는 장사였고 위안부가 장사를 선택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우리 정부가 위안부 피해자 청구권에 대한 분쟁을 해결하려고 노력하지 않는 건 위헌이라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이 나오고 1년이 지났으며, 미국 하원이 위안부 결의안을 채택한 지 5년이 지났지만 상황이 오히려 악화되고 있는 것이다.

할머니들을 대신해 초청장을 작성한 나눔의 집 안신권(51) 소장은 “피해자의 진실과 명예회복을 위해 절박함을 담아 정중히 초청한다”며 “21세기 한일 동반자적 관계와 세계평화 구축을 위해 피해자들이 생존해 있을 때 이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 우익 정치인들의 발언을 전해 들은 할머니들의 표정이 무척 어두워졌다”며 “고령의 할머니들에게 남은 시간이 별로 없다”고 피해자들의 절박한 심정을 전했다.

1992년 서울 마포구 서교동에서 시작해 1995년 광주시로 이주한 나눔의 집에는 현재 김군자(86)·이옥선(85) 할머니 등 80세 중후반의 피해자 8명이 거주하고 있다.

지난 20년간 이곳에서만 피해자 17명이 여한을 안고 세상을 떠났고 생존한 피해자들도 후유증과 노환으로 고통받고 있다.

1998년 세계 최초 성노예 테마 인권박물관으로 문을 연 나눔의 집 부설 ‘위안부 역사관’은 지하 1층, 지상 2층(총넓이 344㎡) 건물에 위안소 모형, 강제동원 및 증언 자료, 피해자 유품과 그림 등이 전시돼 있다.

나눔의 집과 역사관에는 일본인 3천명을 포함, 연간 1만여명이 찾는다. 일본인 방문자 중에는 ‘전시 성적 강제 피해자 문제 해결의 촉진에 관한 법률안’ 제출이나 인권운동에 관여한 전·현직 의원도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