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복지기관 종사女도 15% 성희롱 경험”

“어린이집·복지기관 종사女도 15% 성희롱 경험”

입력 2012-10-22 00:00
업데이트 2012-10-22 13: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성희롱 불만 제기한 여성 절반은 직장 그만둬”

어린이집이나 학원, 사회복지기관 등 여성인력이 집중된 서비스업계에서도 종사 여성의 15%가 성희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지난 6월 15일부터 한 달간 이 분야 종사 여성 2천351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363명(15.4%)이 성희롱을 당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유형별 복수응답을 포함하면 피해사례는 총 1천13건에 달했다.

가장 많이 경험한 유형은 ‘성적 수치심을 유발하는 농담’으로, 경험자의 87.6%가 이같은 성희롱을 당했다고 답했다 .

음란한 눈빛으로 쳐다보는 행위(61.2%), 술을 따르라고 요구하는 행위(41.9%), 의도적으로 신체를 접촉하는 행위(38.8%), 음란물을 보여주는 행위(28.1%)도 자주 경험하는 성희롱 유형이었다. 성폭행 등을 경험한 비율도 5.5%였다.

그러나 적당한 대처 방법을 모르거나 불이익을 염려해 함구한 사람은 전체 피해자의 65.4%(219명)에 달했다.

성희롱을 거부하거나 불만을 제기한 여성은 보복 등 2차 피해를 당한 사실도 확인됐다.

조사에 따르면 ‘성희롱 거부로 보복성 피해를 입거나 그런 사례를 들은 적이 있다’고 답한 134명의 응답자 중 46.3%는 직장을 그만둔 경우를 경험·목격했다고 답했다.

또 업무상 불이익을 받거나(32.8%) 직장 내 따돌림(15.7%), 가해자의 협박(14.9%), 부서이동 또는 금전적 불이익(7.5%)을 당한 사례도 확인됐다.

설문 결과를 토대로 보고서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 및 성희롱 실태조사’를 발간한 여성정책연구원 김영옥 선임연구위원은 “여성 집중 업종이라고 해도 사업주 등으로부터 성희롱을 당하는 사례가 빈번하다”며 “특히 3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이 많은 학원,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예방교육 강화 등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