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비정규직 9일 파업예고에 급식 ‘비상’

학교 비정규직 9일 파업예고에 급식 ‘비상’

입력 2012-11-07 00:00
업데이트 2012-11-07 16: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기교육청 대책마련…최악 경우 도시락 챙겨야

전국 공립 초중고교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9일 파업을 예고하면서 경기도내 각급 학교 급식과 업무 차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민주노총 산하 3개 비정규직 노조 연합체인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는 7일 광화문 정부중앙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9일 1차 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경기도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는 영양사와 조리사, 조리실무사, 배식보조원 등 학교급식 업무 종사자 1만6천346명, 행정실무사 7천241명, 초등돌봄전담강사 1천512명, 청소원 492명 등 모두 3만4천99명이다.

이 가운데 8천여명이 연대회의에 가입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교육청은 파업 참여 예정 근로자 규모가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았으나 파업시 학교 업무 특히 급식에 큰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고 대책을 마련했다.

지난 5일 도교육청 기획조정실장을 반장을 한 파업대책반도 구성, 가동 중이다.

도교육청은 급식의 경우 학교별 파업 참여자가 20% 미만이면 간편한 요리를 중심으로 정상 급식을 하되, 20~50%가 참여하면 일부 완제품 등을 구입해 식단을 간소화하도록 했다.

70~100% 파업 참여 학교는 빵과 우유, 떡 등 급식용품을 대신 지급하거나 가정통신문을 통해 점심도시락을 지참하도록 했다.

체육 전임코치나 특수교육 담당 강사, 당직 전담원 등이 파업에 참여하면 자체 교직원 대체인력을 투입하고 통학차량 운전자 192명이 파업에 가담하면 학생들에게 대중교통을 이용하도록 하거나 통학시간을 조정할 계획이다.

도교육청은 각 학교 관리자에게 파업으로 인한 교직원 간 갈등이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할 것도 지시했다.

도내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은 그동안 공무원과 동일한 각종 수당 지급과 연봉체계 급여의 호봉제 전환 등을 놓고 도교육청에 단체교섭을 요구해 왔다.

그러나 지난 1일 경기지방노동위원회의 노사 양측 조정이 무산됨에 따라 찬반 투표를 거쳐 총파업을 예고한 상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