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률 OECD 평균 밑돌아

韓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률 OECD 평균 밑돌아

입력 2012-11-19 00:00
업데이트 2012-11-19 13: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행안부 분석…작년 10만명당 1.3명

우리나라의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2002년 비교 시작 이후 처음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을 밑돈 것으로 집계됐다. 우리나라의 도로 교통사고 사망률이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것과는 대조적이다.

행정안전부는 세계 어린이날(11월 20일)을 맞아 도로교통공단ㆍ교통안전공단ㆍ한국교통연구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작년 우리나라의 14세 이하 어린이 10만명당 교통사고 사망자는 1.3명으로 OECD 평균인 1.4명(2010년)보다 낮았다고 19일 밝혔다.

우리나라의 전체 교통사고 대비 어린이 사망자 비율도 1.9%로 OECD 평균인 3.2%(2010년)를 크게 밑돌았다고 행안부는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13세 미만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자는 2007년 179명에서 2011년 80명으로 55.3% 감소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어린이 10만명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2002년 비교가 시작된 뒤 처음으로 OECD 평균치 아래로 떨어졌다.

행안부는 그동안 어린이보호구역 확대 지정, 어린이보호구역 내 과속방지턱과 보ㆍ차도 분리, CC(폐쇄회로)TV 설치 등을 추진한 게 효과를 발휘했다고 분석했다. 행안부는 내년에는 서울 성북구와 대구 북구, 충북 청주의 어린이보호구역 통학로와 표지판, 차선을 재정비해 ‘명품 스쿨존’으로 만들고, 다른 지방자치단체에서 벤치마킹할 수 있게 확대 보급할 계획이다.

한편 어린이 교통사고와 달리 우리나라의 도로 교통사고 사망률은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

2010년 우리나라의 10만명당 도로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11.3명으로, 비교수치를 제시한 29개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많았다. 한국에 이어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많은 회원국은 그리스(11.1명), 미국(10.6명), 폴란드(10.2명) 등의 순이었다.

맹형규 행안부 장관은 “세계 어린이 날을 맞아 우리나라의 어린이 교통안전도가 선진국 수준에 도달한 것은 매우 뜻깊은 일”이라며 “아이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자랄 수 있도록 어린이 교통안전에 대해 지속적인 투자와 관심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