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일자리 취업 ‘개천의 용’은 옛말?

좋은 일자리 취업 ‘개천의 용’은 옛말?

입력 2012-12-04 00:00
업데이트 2012-12-04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기업 입사 학점보다 영어·인턴 경험 좌우… 그 스펙은 고소득 가구 자녀일수록 높았다

대기업과 공기업, 외국계 기업 등 이른바 ‘괜찮은 일자리’를 얻는 데는 학점보다 영어실력과 인턴경험 등이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점수와 인턴경험 등 ‘스펙쌓기’에는 고소득 가구의 학생들이 더 유리한 것으로 조사돼 기업의 과도한 스펙중시 경향이 일자리 양극화 현상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미지 확대
●직능원, 대학 졸업자 1만 1106명 조사

3일 한국직업능력개발원(직능원)이 발표한 ‘4년제 대학생의 스펙쌓기 실태’ 보고서 분석결과다. 직능원은 이번 조사를 위해 2008년 8월과 2009년 2월에 대학을 졸업한 1만 1106명의 스펙과 함께 졸업 후 20개월이 지난 뒤 취업상태를 추적했다.

조사 결과, 대기업이나 공공기관, 금융업, 외국계 회사의 정규직 일자리 등 ‘괜찮은 일자리’ 취업자와 기타 취업자, 미취업자의 졸업평균 학점은 4.5점 만점에 각각 3.64점, 3.6점, 3.62점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학점이 높을수록 좋은 직장에 취직하는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직능원은 “과거 기업들이 학점을 중요한 선발요소로 활용하면서 대학이 학점을 후하게 주는 학점 인플레 현상이 나타나 최근에는 학점이 더 이상 유용한 선발기준으로 작용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대기업·공기업 취업 토익점수 70점↑

반면 영어점수와 인턴경험, 자격증 등 이른바 ‘스펙 3종 세트’는 취업의 질을 높이는 데 관련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토익점수(990점 만점)는 괜찮은 일자리 취업자의 평균이 808점, 기타 일자리 취업자 평균이 735점으로 격차가 뚜렷했다. 또 괜찮은 일자리 취업자 가운데는 26.8%가 어학연수를 다녀온 반면, 기타 일자리 취업자는 18.4%, 미취업자는 17.9%로 차이가 났다. 특히 취업 가산점을 부여하는 기업 운영 인턴프로그램 참여 비율은 괜찮은 일자리 취업자가 54.5%로 기타 일자리 취업자 28.9%에 비해 1.8배 높았다.

●어학연수 비율, 소득 따라 최대 2배差

영어실력, 인턴경험 등은 가구 소득에 따라 큰 편차를 보였다. 가구소득을 월 500만원 이상, 200만원 이상 500만원 미만, 200만원 미만 등 세 그룹으로 구분한 결과, 평균 토익점수는 각각 817점, 757점, 750점으로 최대 67점 이상 벌어졌고, 어학연수 경험 비율도 31.4%, 19.7%, 15.7%로 소득에 따라 2배까지 차이 났다. 반면 세 그룹 간 학점은 3.60점, 3.62점, 3.63점 등으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

채창균 직능원 선임연구위원은 “영어실력이나 인턴경험이 취업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고소득 가구 자녀의 취업성과가 더 좋게 나타나 일자리 양극화의 세대 간 재생산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면서 “채용기준을 사전에 밝히는 ‘스펙공시제’ 도입 등 채용기준을 간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2012-12-04 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