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性검사’ 경찰수사 무늬만 협조

검찰 ‘性검사’ 경찰수사 무늬만 협조

입력 2012-12-22 00:00
업데이트 2012-12-22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찰 “추가자료 알맹이 없어”

검사 성추문 사건의 피해 여성 사진 유출경위 수사에서도 경찰과 검찰이 삐걱거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수사 주체인 경찰은 부실한 감찰보고서를 넘겨준 검찰 측에 추가자료를 요청했으나 A4용지 세 장짜리 무성의한 자료만 보내왔다고 비난했다. 경찰 일각에서는 검찰의 의도적인 방해가 아니냐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서울 서초경찰서는 “20일 오후 대검찰청 감찰본부가 추가자료를 보내왔지만, 우리가 요청했던 외부유출 흔적이나 사진열람 이유 등에 대한 답변은 전혀 없었다.”고 21일 밝혔다.

검찰은 지난 13일 피해 여성의 사진을 조회·저장한 검사·검찰수사관 등 6명의 명단을 넘겼으나 이들의 사진입수 경위, 전파경로, 외부유출 가능성 등 수사의 핵심자료는 빠져 있었다. 이에 경찰은 14일 거듭 자료를 요청했으나 대검은 이번에도 관련 내용은 제외한 채 인천지검 부천지청 소속 P검사가 사진을 보낸 6명의 신원만 추가해 경찰에 전달했다. 엑셀파일 2장, 한글파일 1장 등 총 A4용지 3장이었다. 경찰은 “P검사에게 사진을 받은 6명은 검사 등 검찰 직원들로 수사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 사람들”이라고 설명했다.

경찰 관계자는 “검찰이 ‘내부기밀이 포함돼 있다.’며 관련 자료를 통째로 못 준다고 했다.”면서 “우리가 필요한 내용을 다 줄 거라고는 어차피 생각도 안했지만 현재의 검찰 자료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경찰은 자체적으로 수사한 뒤 다음 주초까지 소환 대상자·시기를 결정할 방침이다.

사상 초유의 현직검사 소환도 빠르면 다음 주 중에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해 대검 감찰본부는 ‘수사가 아닌 감찰 자료까지 경찰에 줄 수는 없고, 제공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자료에 대해서는 최대한 협조한다.’는 입장을 되풀이하며 대응을 하지 않았다.

조은지기자 zone4@seoul.co.kr

2012-12-22 1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