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사자성어는 ‘제구포신(除舊布新)’

새해 사자성어는 ‘제구포신(除舊布新)’

입력 2012-12-30 00:00
업데이트 2012-12-30 09: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수신문 설문…”묵은 것 제거하고 새로운 것 펼쳐낸다”

교수들이 2013년의 희망을 담은 사자성어로 ‘제구포신(除舊布新)’을 뽑았다.

교수신문은 10~19일 전국 대학교수 6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전체 응답자 가운데 가장 많은 30%가 새해 희망의 사자성어로 제구포신을 선택했다고 30일 밝혔다.

제구포신은 ‘춘추좌전’에 나오는 말로 묵은 것을 제거하고 새로운 것을 펼쳐낸다는 뜻이다.

춘추좌전의 기록을 보면 소공(昭公) 17년 겨울 하늘에 혜성이 나타나자 노나라의 대부(大夫) 신수(申須)가 이를 제구포신의 징조로 해석했다는 내용이 나온다.

혜성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불길함의 상징으로 여겨져왔는데 오히려 이를 변혁의 징조로 본 것이다.

새해 사자성어를 추천한 이종묵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변혁은 불길함의 징조가 나타날 때 필요한 것”이라며 “다만 그 변혁은 백성의 믿음을 얻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라고 추천 이유를 설명했다.

이 교수는 “옛 사람들은 낡은 것은 버리고 새것은 받아들이되 낡은 것의 가치도 다시 생각하고 새것의 폐단도 미리 보고자 했다”며 “이것이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는 마음이며 진정한 제구포신의 정신”이라고 덧붙였다.

박명진 중앙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대선을 통해 고질적인 지역 갈등과 이데올로기 갈등, 계층갈등이 심화됐다”며 “새 정부는 구악을 퇴치하고 새로운 가치관과 시민의식을 고양해야 할 것”이라고 선택 이유를 말했다.

제구포신에 이어 여러 갈래의 서로 다른 쟁론을 화합해 하나로 소통시킨다는 의미의 ‘원융회통(圓融會通)’이 28.4%의 지지를 얻어 2위를 차지했다. 이는 원효의 화쟁사상에 나오는 말이다.

맹자에 나오는 ‘여민동락(與民同樂)’은 백성과 동고동락하는 통치자의 자세를 비유한 사자성어로 3위에 올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