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인 자살보도가 ‘베르테르 효과’ 부른다…통계적으로 첫 입증

유명인 자살보도가 ‘베르테르 효과’ 부른다…통계적으로 첫 입증

입력 2014-03-18 00:00
업데이트 2014-03-18 1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아산병원 김남국 교수팀 연구결과

김남국 서울아산병원 교수.
김남국 서울아산병원 교수.


배우 등 사회적으로 명망있는 유명인사의 자살과 관련한 언론 보도가 모방자살을 뜻하는 ‘베르테르 효과’를 부른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유명인의 자살이 모방자살로 이어진다는 것은 통설로 통용돼 왔으나 언론 보도가 자살의 매개로 작용한다는 것이 사실로 확인된 것이어서 주목을 끈다.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 김남국 교수팀은 유명인 자살에 대한 언론의 기사 수와 모방자살 증가 수를 파악해 비교한 결과, 유명인 자살에 대한 언론 보도와 모방자살 간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팀은 1990년부터 2010년 사이에 자살한 유명인 중 언론에 많이 보도된 15명에 대한 신문과 TV 기사량, 통계청 모방자살자 수를 정량적으로 모델링해 분석했다. 그 결과, 상관계수가 0.74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정도의 상관성이라면 유의미한 것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상관계수는 1에 가까울수록 두 변수 간의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한다.

 

특히 2008년 자살로 생을 마감한 탤런트 고(故) 최진실씨의 상관계수가 비교 대상자 중 가장 높게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최씨의 자살에 대한 일별 신문 보도량과 일별 모방자살의 상관계수는 0.71, TV 보도량과 모방자살의 상관계수는 0.76으로 각각 나타났다.

 

이 연구에 참여한 고려대안산병원 인간유전체연구소 서수연 박사는 “사람들은 유명인은 본받을 점이 있다고 생각해 그들의 행동을 모방하려는 심리를 갖는다”면서 “이 때문에 유명인이 자살 같은 부적응적인 행동을 해도 이를 따라해 모방자살로 이어진다. 즉, 모방자살은 위인 본받기의 부정적인 행동양태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자살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유명인 자살에 대한 언론 보도와 모방자살의 관련성을 처음으로 정량화한 연구여서 주목되고 있다. 김남국 교수는 “우리나라는 자살률이 OECD 국가 중 1위인데도 자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크게 부족하다”면서 “설문조사를 통한 모방자살 연구는 있었지만 이번처럼 모방자살을 모델링해 언론 보도와의 상관관계를 밝힌 것은 처음”이라고 밝혔다.

 

최근 들어 한국 등 국제사회에서 자살에 대한 보도가 지나치게 선정적인 방향으로 흐르자 세계보건기구(WHO)와 보건복지부는 각각 ‘유명인 자살 이후 언론보도지침’과 ‘자살 보도 권고 기준 2.0’을 제시해 비교적 엄격한 준칙을 적용하고 있으나 갈수록 매체 경쟁이 심해지는 데다 매체 수도 급증해 적절한 통제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김남국 교수는 “유명인 자살사건이 언론 보도에 노출된 횟수와 모방자살의 연관성이 밝혀진만큼 향후 언론 보도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중요하게 부각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정신과학분야의 국제 학술저널인 ‘역학 및 정신과학 학술지(Epidemiology & Psychiatric Science)’ 최근호에 게재됐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