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운전자 교통사고 사망 급증…경찰 “교육 강화”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사망 급증…경찰 “교육 강화”

입력 2014-03-23 00:00
업데이트 2014-03-23 10: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찰, 차량에 ‘실버마크’ 부착 추진

서울 시내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 사망이 최근 빈발하면서 경찰이 대책 마련에 나섰다.

23일 서울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서울 시내에서 교통사고로 사망한 고령운전자는 2011년 31명에서 2012년 43명, 2013년 51명으로 늘었다. 올들어 1∼2월에만 16명이 숨졌다.

이는 서울 시내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가 2011년 430명, 2012년 419명, 2013년 371명 등으로 줄어드는 현상과는 대조된다.

경찰은 65세 이상 운전자가 2011년 32만2천여명에서 2012년 36만5천여명, 2013년 40만8천여명으로 증가한데 따라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 사망도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경찰은 고령운전자 사고가 대부분 평일 오전 6시~오후 6시 시간대 일어나고 있으며 비사업용 승용차 사고보다 택시나 화물차 같은 사업용 차량의 발생 비율이 높았다고 밝혔다.

경찰은 이에 따라 경로당이나 노인복지관 등을 찾아 교통안전 교육을 강화하는 등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서울지방경찰청은 아울러 고령 운전자임을 나타내는 ‘실버마크’를 자체 제작해 차량에 붙이도록 하고 사업용 차량 운전자의 법규 위반에 대해 예외 없는 단속에 나설 계획이다.

경찰은 또 국토부, 서울시 등 관련 기관과 협의를 거쳐 일정 연령이 되면 운전 자격 여부를 심사하고 버스·택시 운전 교육 때 고령 운전자에 대한 특별 교육을 마련하도록 관련법 개정을 추진할 예정이다.

경찰에 따르면 일본은 70세 이상의 운전자는 면허증 갱신 시 강의를 듣거나 인지 지능검사를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고, 차량에 고령운전자임을 나타내는 표지를 붙여야 한다.

뉴질랜드는 80세가 되면 운전면허가 자동으로 말소되며 갱신하려면 2년마다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경찰은 “고령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고령운전자에 대한 사회적 배려와 양보문화 조성에 시민들이 적극 협조해달라”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