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서류 원문 공개한다더니…9개 기관 실적 ‘0’

결재서류 원문 공개한다더니…9개 기관 실적 ‘0’

입력 2014-04-04 00:00
업데이트 2014-04-04 07: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7개 기관 평균공개율 5% 미만 저조…”시스템 오류 원인도”

정부가 핵심 국정 어젠다인 ‘정부3.0’ 실천과제로 결재서류 원문공개 서비스를 시작했지만 시행 초기 실제 공개율이 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일 현재 대한민국 정보공개 포털(open.go.kr)에 목록이 제시된 47개 중앙행정기관의 3월 21∼27일자 국장급 이상 결재서류 1만1천794건 중 원문공개 서비스가 가능한 서류는 5%가 채 안 되는 584건에 그쳤다.

안전행정부는 중앙행정기관 47곳의 국장급 이상 결재문서 원문을 정보공개청구 없이 인터넷에서 열람할 수 있는 서비스를 지난달 28일부터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안행부는 당시 공개율을 30% 수준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지난 3일 기준으로 열람이 가능한 지난달 21∼27일치 국장급 이상 결재문서 중 95%는 생산자가 개인정보 유출 위험 등을 이유로 ‘비공개’ 처리해 인터넷에서 내용을 확인할 수 없었다.

공정거래위원회, 금융위원회, 해양경찰청, 국민권익위원회 등 9개 기관은 7일간 단 한 건의 국장급 결재서류도 공개하지 않았다.

이 가운데 국세청, 대검찰청, 국무총리비서실, 국무조정실은 국장급 결재서류의 목록조차 제시하지 않아 비공개율을 산출하기조차 불가능했다.

안행부 관계자는 “일부 시스템의 오류로 ‘공개’ 결정된 문서들이 인터넷 설정에 따라 조회되지 않는 것 같다”며 “원인을 파악하고 있다”고 4일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일부 기관에서는 21∼27일 사이에 국장급 결재가 전혀 없었을 수도 있다”고 해명했다.

이 기간 10건 이상의 국장급 결재서류를 생산한 기관 가운데 공개율이 30%를 웃도는 곳은 소방방재청(35%), 농촌진흥청(34%),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40%) 뿐이었다.

교육부(1%), 법무부(1%), 국토교통부(2%), 조달청(2%), 관세청(3%), 농림축산식품부(4%), 외교부(4%), 해양수산부(3%) 등은 평균인 5%에도 미달했다.

반면 서울시 등 17개 시도는 이 기간에 생성한 국장급 결재문서 5천672건 중에 2천816건을 공개, 50%의 공개율을 보였다.

충남이 80%로 가장 높았고, 충북(56%), 서울(52%), 경남(52%)도 공개율이 절반을 넘겼다.

이용석 안행부 공공정보정책과장은 “시행 초기여서 개인정보 유출 우려 등으로 원문공개에 조심스러운 분위기가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시스템이 안정화하고 시간이 경과하면 공개율이 점차 올라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