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주차장 붕괴’ 주민 800명 5일째 귀가못해

목포 ‘주차장 붕괴’ 주민 800명 5일째 귀가못해

입력 2014-04-06 00:00
업데이트 2014-04-06 1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목포시 “건물 안전하다”에 주민 불신…보상합의도 난항

전남 목포시 산정동 신안비치 3차 아파트 800여 명의 주민들이 주차장 붕괴 닷새째인 6일 현재까지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붕괴원인 규명과 아파트 안전 진단에 상당 기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고 피해보상급 지급 문제도 이견이 많아 합의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목포시는 ‘아파트 건물 구조상 문제가 없다’는 긴급 안전진단 결과를 내놨지만 주민대책위원회는 ‘믿을 수 없고 붕괴 원인 규명이 먼저’라며 반발하고 있다.

지난 2일 오후 길이 50m, 너비 10m, 깊이 6m로 무너진 주차장에선 응급복구 공사가 이틀째 진행되고 있다.

무너진 패널을 걷어내고 흙을 채워넣는 등 지반 성토작업을 하고 있다. 추가 붕괴를 막기 위한 이 공사는 7일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

응급복구 공사는 사고발생 다음날인 지난 3일 시작됐다가 주민 반대로 중단된 후 전날 재개됐다. 재개된 이후에도 중단, 재개를 반복하는 등 우여곡절이 많았다.

시의 한 관계자는 “건물 기울기, 균열 등을 볼 때 아파트 건물 구조상 문제가 없다”며 “전기는 공급되고 있고 중단된 가스도 밸브만 열면 사용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시는 주민들이 아파트로 돌아가는 것을 불안해하는 만큼 한국시설안전관리공단에 안전진단을 의뢰했다.

공인기관인 안전관리공단은 도면 검토작업을 거쳐 오는 7일 현장에서 안전 진단을 시작한다고 시는 설명했다.

주민대책위도 별도로 붕괴원인과 안전 진단을 하고 있다.

해당 건설사와 주민 간 피해 보상 문제도 난관이다.

해당 건설사는 지난 2일 가구당 주거생활비로 30만원을 지급했다. 이후 하루 얼마씩 지급할 것인가를 놓고도 이견을 보이고 있다.

시는 붕괴원인 규명과 피해보상 문제에 적극 개입, 주민 불편을 하루빨리 해결할 방침이다.

이 아파트 375가구 800여 명의 주민들은 시와 업체가 지정한 호텔과 모텔 등에서 지내고 있다.

목포경찰은 만일의 사태와 절도사건 발생 등을 우려해 주민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