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여름 더위에 휘어진 엿가락 레일… 한여름 탈선 ‘빨간불’

초여름 더위에 휘어진 엿가락 레일… 한여름 탈선 ‘빨간불’

입력 2014-06-02 00:00
업데이트 2014-06-10 1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업동~의성 구간 객차 9량 이탈

코레일은 경북 의성군 중앙선 업동역∼의성역 화물열차 탈선 사고 구간에 대한 복구를 완료해 오전 7시 36분쯤 정상 운행을 재개했다고 1일 밝혔다.

코레일 측은 “당일 해당 지역 낮 기온이 36.3도까지 치솟으며 레일 온도가 55도까지 상승하는 등 불볕더위로 인해 선로가 휘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나 고온이라고 해서 무조건 탈선 사고가 났다고 보기에는 납득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적잖다.

일반적으로 철도 선로는 고온에 대비해 이어지는 철로 사이에 유간이란 공간을 두고 있다. 이 공간을 통해 고온으로 철로가 늘어나도 괜찮게 돼 있다. 35~36도의 고온이라도 다른 지역 철로는 아무 문제가 없었다는 점이 이를 반영한다.

대구 시민 서모(37)씨는 “35도 정도 되는 기온에 철로가 늘어나 탈선한다면 여름 내내 고온인 대구를 비롯한 영남 내륙지역에 놓인 철로는 매일 사고가 났을 것”이라며 “결국엔 철로 관리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고 꼬집었다.

지난달 31일 오후 3시 11분쯤 포항 괴동역으로 가던 제3385 화물열차 객차 9량이 궤도를 이탈했다. 사고로 이 구간을 운행하는 무궁화호 왕복 3개 여객열차가 정상 운행하지 못해 승객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소방 당국과 코레일은 119구조대와 장비 등을 보내 사고를 수습했다.

더위 탓에 모노레일이 멈춰서기도 했다. 지난달 31일 오후 2시 40분쯤 제천시 청풍면 도곡리 청풍호 관광 모노레일의 상행선 운행이 중단됐다. 당시 상행선 모노레일 3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운행 중이었으나 맨 앞에 가던 모노레일의 전원 공급이 출발기점 600m 지점에서 갑자기 끊기면서 정지한 것이다. 승객 18명은 걷거나 하행선을 타고 하산했다.

시 관계자는 “치솟은 기온 때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늘어나면서 변형을 일으켜 사고를 낸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지난해 7~8월에도 두 차례 비슷한 고장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날 낮 제천 지역 최고기온은 33.7도로 기상관측 이래 5월 최고치를 보였다. 호반에서 해발 531m의 비로봉 정상까지 3㎞를 오가는 모노레일은 복구를 마쳐 정상운행되고 있다.

의성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제천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
2014-06-02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