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삶의 질’ 대전 1위, 서울 4위… 충남은 꼴찌

‘아동 삶의 질’ 대전 1위, 서울 4위… 충남은 꼴찌

입력 2014-06-18 00:00
업데이트 2014-06-18 01: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대 사회복지硏 조사

재정자립도와 복지예산이 높은 대도시일수록 아동 삶의 질이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제 어린이 구호단체 ‘세이브더칠드런’과 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는 1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2013 한국 아동 삶의 질 종합지수’(CWBI)를 발표하고 대도시와 농어촌의 CWBI(평균 100)가 각각 106.30과 90.80이라고 밝혔다. 연구를 수행한 이봉주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재정이 풍부한 대도시일수록 아동 복지에 지출할 수 있는 여력이 큰데 사회적 투자가 아동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4월까지 전국 16개 시·도 아동과 부모 각각 7337명을 대상으로 8개 영역(건강, 교육, 주거 환경 등), 46개 항목을 설문조사해 아동 삶의 질 지수를 산출했다.

지역별로 보면 대전이 CWBI가 111.59로 가장 높았고 대구(110.18), 부산(105.46), 서울(104.54) 등 대도시가 상위권에 올랐다. 반면 충남(92.75)은 CWBI가 가장 낮았고 제주(92.78), 전남(93.13), 전북(94.58) 순으로 뒤를 이었다. 상위권 도시의 재정자립도는 대전 58.3%, 대구 52.8%, 부산 57.4%, 서울 90.2%로 전국 평균 52.3%를 상회했다. 반면 하위권인 충남, 제주, 전남, 전북의 재정자립도는 각각 35.5%, 28.5%, 21.4%, 26%에 그쳤다.

아동이 풍요로운 주거 환경보다 가족 및 친구들과의 관계가 원만할 때 삶의 질이 높다고 느낀다는 결과도 흥미롭다. 물질적인 환경보다는 아동 자신이 느끼는 행복과 연관된 부분이 삶의 질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얘기다. 숫자 100에 근접할수록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봤을 때 ‘아동의 관계’는 95.30, ‘주거 환경’은 31.90을 기록했다. 이 교수는 “16개 시·도에 사는 아동 삶의 질에 격차가 존재한다는 것이 확인됐다”면서 “아동복지 예산의 중앙정부 환원 등 적극적인 노력과 아이들 행복이 가족 관계와 밀접하다는 점에 대한 성찰이 병행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4-06-18 1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