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시내버스노조 “임금 최저…약속 이행하라”

광주 시내버스노조 “임금 최저…약속 이행하라”

입력 2014-06-23 00:00
업데이트 2014-06-23 13: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조 “5.29% 인상”, 광주시 “재정부담”…파업 장기화 우려

23일 총파업에 돌입한 광주 시내버스 노조가 광주시를 상대로 순차적 임금인상 약속 이행과 비정규직 고용안정 보장을 요구했다.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광주지역버스노동조합은 이날 오전 광주 북구 유동 한국노총 전남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친 점 사죄드린다”며 “조합원 1천320여명이 파업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광주시가 근로조건 개선 약속을 저버리고 비정규직 확산으로 고용불안을 조장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노조는 “버스준공영제 도입 이후 광주시의 재정적 어려움을 고려해 많은 부분을 양보해왔다”며 “시에 재정적 압박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해서 장기근속자들이 눈물을 머금고 퇴직금을 중간정산했고 불합리한 호봉제 도입과 동료들의 비정규직 입사도 인정했다”고 설명했다.

노조는 단계적으로 대전과 동일한 근로조건으로 개선해주겠다던 광주시의 약속을 믿고 참았으나 시가 이를 지키지 않았고 현재 버스운전기사 10명 중 4명이 비정규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비정규직은 대중교통의 안전을 위협하는 존재다. 버스운수업이 파견 금지업종으로 묶여 있는 것도 바로 교통안전을 위해서”라며 광주시가 비용을 핑계로 고용불안을 방치해서는 안 되며 우선 무기계약직 전환 등 안정화 방안을 속히 마련하고 7대 광역도시 중 가장 낮은 수준인 임금에 대한 인상 약속도 지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애초 9.8% 임금인상을 요구하다가 5.29%로 수정 요구하고 있으며 광주시와 사측은 임금 동결을 주장하다가 지난 22일 강운태 광주시장이 최종 제시안으로 3.62% 인상안을 내놓았으나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노조는 5.29%를 인상해도 임금 수준이 대전보다 낮다며 현재의 요구안을 관철하려 하고 있고 광주시 역시 노조의 입장 변화가 있으면 협상을 재개할 수 있다고 밝혀 파업 장기화가 우려된다.

광주시는 시내버스 운전기사들의 임금수준이 타 도시에 비해 낮아 점진적으로 인상해야 하는 것은 맞지만 이미 연간 400억원 규모의 지원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민들의 세금 부담이 과도하게 늘어나는 일시적인 임금 인상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노조는 “광주시가 재정 적자를 이유로 인상이 어렵다고 주장하지만 이 중 80%는 무료환승비용”이라며 “BIS 구축 등 시민들에게 지출한 교통 복지 비용을 마치 준공영제 시행에 따른 적자인 것처럼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