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경매법정 가보니…치솟는 전세가, 더 치솟는 경매 열풍

수원 경매법정 가보니…치솟는 전세가, 더 치솟는 경매 열풍

입력 2014-07-21 00:00
업데이트 2014-07-21 03: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무주택자들 대거 몰리는 통에 감정가보다 낙찰가가 높아져”

“전용면적 84㎡ 아파트, 3억원 낙찰.”

지난 18일 수원지방법원 제1별관 경매 법정. 물건으로 나온 부동산 46건 중 아파트 14건을 놓고 눈치작전이 치열했다. 저마다 입찰한 가격을 집행관이 한 명씩 발표할 때마다 탄성이 오갔다. 낙찰을 받은 사람은 함박웃음을 지었지만 떨어진 사람은 아쉬움을 감추지 못했다.

꿈에 그리던 아파트를 3억여원에 낙찰받은 이모(45·여)씨는 “한 명 한 명 적어 낸 가격이 공개될 때마다 가슴 졸였다”면서 “이젠 집주인 눈치보지 않고 마음 편하게 지낼 수 있게 됐다”며 기뻐했다. 반면 안모(60·여)씨는 “시세보다 싸고 대출도 집값의 90%까지 가능해 서민에겐 법원 경매가 내 집 마련의 돌파구가 되고 있다”면서 “지난해 말부터 여러 차례 입찰했는데 감정가보다 높게 써 내는 사람들 때문에 번번이 고배를 마시고 있다”며 속상해했다.

20일 경매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역대 상반기 수도권 아파트 경매 응찰자 수는 2012년 2만 4891명에서 올해 4만 1495명으로 67%가 늘었다. 전세가가 고공 행진을 거듭하며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세보다 10~20% 정도 저렴한 비용에 ‘내 집 마련’을 하려는 서민들이 법원으로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도 수원지법 경매 법정은 아파트 입찰에 참여하려는 사람들로 북새통을 이뤘다. 법정의 54개 좌석은 경매 시작 한 시간 전부터 이미 가득 찼다. 법정 바깥 통로도 모니터를 통해 경매를 지켜보는 사람들로 발 디딜 틈조차 없었다. 수원지법 관계자는 “며칠 전에는 아파트만 40여건이 경매에 나온 적이 있었는데 수백 명이 몰려 구내식당까지 자리가 없을 정도였다”고 귀띔했다.

요즘은 특히 실수요자들이 많아 ‘중소형 85㎡ 이하, 2억~3억원대 아파트’ 경매 열기가 뜨겁다. 또 무주택자들이 대거 몰리며 감정가보다 더 높은 가격에 낙찰되는 현상까지 벌어지고 있다. 임현묵 신한은행 부동산팀장은 “경매 참여자들이 급증하며 낙찰가율마저 올라가고 있다”면서 “1차 유찰 뒤 2차 경매 땐 최저 입찰가가 20~30% 정도 떨어지는데도 경쟁이 심해 감정가 이상으로 가격이 올라가는 경우도 있어 경계해야 할 정도”라고 설명했다.

대개 오전 10시에 시작하는 경매는 오후 1~2시면 끝난다. ‘인터넷 경매’가 자리 잡지 않아 현장에서만 참여할 수 있다. 그래서 경매 현장에는 가정주부들이 많다. 정대홍 부동산태인 홍보팀장은 “경매 참여자들이 늘어나며 실수하는 경우도 많아져 법원에 항의하거나 억울함을 호소하는 사람들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면서 “실거래가 등 기본적인 경매 지식을 갖추고 참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4-07-21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