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게임 끝나면 인천시 갚아야 할 빚 ‘산더미’

아시안게임 끝나면 인천시 갚아야 할 빚 ‘산더미’

입력 2014-07-23 00:00
업데이트 2014-07-23 08: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기장 건설비 1조2천억원…지방채 원금 상환시기 내년 도래

인천아시안게임 경기장 건설을 위해 발행한 지방채의 원금 상환시기가 내년부터 시작돼 인천시의 부채 상환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23일 인천시에 따르면 오는 9월 개막하는 아시안게임을 앞두고 시는 서구 아시아드주경기장 등 17개 신설 경기장 건설에 총 1조7천224억원의 예산을 썼다.

이 중 4천677억원(27%)은 국비 지원을 받아 충당했지만 1조2천523억원(73%, 기타 24억원 제외)은 시비로 마련해야 한다.

시는 재정난 때문에 가용재원이 마땅치 않자 국비를 제외한 시비 전액을 지방채로 발행하며 경기장 건설비를 조달했다.

시는 5년 거치 10년 균등분할 상환 조건으로 지방채를 발행, 2010년 이후 매년 이자만 153억∼455억원을 상환해 왔다.

그러나 내년부터는 원금까지 갚아야 하기 때문에 원리금 상환 규모가 대폭 늘어난다.

인천시가 상환해야 하는 원리금은 내년 673억원을 시작으로 매년 늘다가 2020년에는 1천573억원으로 정점을 찍게 된다. 2018년부터 2024년까지는 1천억원대 원리금을 상환해야 한다.

원리금 상환 규모는 점차 줄다가 2029년 218억원을 갚는 것으로 경기장 건설 관련 채무는 정리될 예정이다.

인천시는 대회가 끝나면 경기장에 영화관·쇼핑몰 등 복합문화공간을 적극 유치, 수익성을 높이며 부채 상환에 힘을 보탤 전략을 세우고 있다.

시는 인천 아시아드주경기장의 경우 경기장 1층에 할인점·영화관, 2층 식음시설·문화센터, 3층 스포츠센터·연회장 등 경기장 5만2천250㎡를 수익시설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시는 연간 121억원의 임대수입을 올리는 서울 상암경기장 등 국내 우수사례를 벤치마킹하며 국내 대형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사업성을 타진하고 있다.

그러나 아시아드주경기장 주변에는 청라시티타워·신세계복합쇼핑몰 등 대형 상업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동일상권에 상업시설 기능이 중복된 탓에 사업자 확보에 난항을 겪고 있다.

시는 안정적인 수익 확보를 위해 전체 일괄 임대방식을 추진 중이지만 대형 유통업체들은 거대한 면적의 상업시설을 일괄 임대하는 데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인천시의 한 관계자는 “내년 1∼2월 경기장 상업시설 사업자 선정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 중”이라며 “입찰 공고 때 일괄 임대방식으로 사업자를 공모하되 시장 반응을 보며 개별임대를 혼용하는 방식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