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래학 서울시의장 “신뢰받는 청렴한 의회로 만들 것”

박래학 서울시의장 “신뢰받는 청렴한 의회로 만들 것”

입력 2014-07-23 00:00
업데이트 2014-07-23 09: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방의원 행동강령 제정·업무추진비 공개·윤리위 강화 약속

박래학 제9대 서울시의회 의장은 23일 “서울시의회가 천만 시민에게 신뢰받는 청렴한 의회로 새롭게 태어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박래학 서울시의회 의장 인터뷰
박래학 서울시의회 의장 인터뷰 박래학 제9대 서울특별시의회 의장이 23일 오전 서울시의회 의장실에서 연합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답변 도중 밝게 웃고 있다.
연합뉴스
박 의장은 이날 서울시의회 집무실에서 가진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제7대, 제8대 의회 의장들이 선거법 위반이나 뇌물 수수로 수사를 받으면서 서울시의회의 청렴도가 바닥을 쳤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살인교사 혐의로 구속된 김형식 시의원 사건으로 시의회의 권위가 크게 실추된 점에 대해 안타까움을 토로하고, 의원의 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뜻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외부 석박사 등 전문가와 의원을 합쳐 15명 정도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지방의원 행동강령을 제정하고 윤리위 기능을 강화해 비리 의원은 가차없이 윤리위에 회부하는 등 경각심을 일깨우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의원과 이해관계가 있는 상임위에는 해당 의원이 참여할 수 없도록 하겠다”며 “이번 원 구성에서도 한 상임위에서 4년 이상 있었던 의원들은 다른 상임위로 옮기게 했다”고 전했다.

박 의장은 의회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업무추진비 공개 카드도 빼들었다.

그는 “시의장이 업무추진비로 얼마를 썼다고 두루뭉술하게 총액만 보여주는 게 아니라 누가 봐도 ‘제대로 썼구나’, ‘시정을 위해 쓰고 있구나’라고 느낄 수 있도록 내역을 소상히 공개하겠다”고 약속했다.

한 해 동안 의장단과 상임위 활동 경비로 쓸 수 있는 7억 7천만원에 대해서도 70%는 상임위 활동에 쓰고 30%는 의장단 경비가 아닌 의원 전체의 역량강화 프로그램에 할애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박 의장은 시의회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정책보좌관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서울시 예산이 연간 33조원에 달하는데 시의원 혼자서는 이 막대한 예산을 깐깐하게 점검하기가 정말 어렵다”며 “시의원이 컴퓨터가 아닌 이상 무슨 재주로 그것을 다 감시하겠느냐”고 물었다.

그는 “제8대 의회에서 조례를 1천700여 개 제정하는 등 시의원이 업무 과중에 시달리고 있다”며 “서울시민에게도 꼭 필요한 일인만큼 국회에 매일 출근해서라도 올해 안에 관철시키겠다”고 다짐했다.

그러면서 “의회사무처 직원의 인사권도 의회로 귀속시켜야 한다”며 “인사권이 시에 있다 보니 직원들이 집행부(서울시)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고, 의회 업무가 집행부에 알려질 수도 있어 독립성 보장이 안 된다”고 주장했다.

제9대 서울시의회는 새정치민주연합 76명, 새누리당 29명, 무소속 1명으로 구성돼 8대에 이어 서울시장이 소속된 정당이 의회의 다수를 점한 여대야소(與大野小) 구도가 그대로 유지됐다.

박 의장은 박원순 서울시장과의 협력 방안에 대해서는 “의회는 시를 당연히 견제·감시 해야 하지만 어떤 면에선 두 개의 수레바퀴처럼 함께 돌아가야 한다”고 적극적인 협력 의사를 밝혔다.

박 의장은 2008년 있었던 재보선을 통해 서울시의회에 입성했으며 이후 3번의 지방선거에서 모두 시의원으로 당선됐다. 제6대와 제8대 의회에선 예결위원장을 지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