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들 장난감? 어른 성취감!

애들 장난감? 어른 성취감!

입력 2014-08-09 00:00
업데이트 2014-08-09 00: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키덜트族, 年5000억 시장 쥔 손 그들은 왜 지갑을 열까

“어쩜 이리 잘 만들었을까?”
이미지 확대
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키덜트페어 전시장을 찾은 성인들이 영화 캐릭터 모형을 찍거나 둘러보고 있다. 어릴 적 추억이 담긴 장난감에 열광하는 키덜트가 늘어나면서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키덜트페어 전시장을 찾은 성인들이 영화 캐릭터 모형을 찍거나 둘러보고 있다. 어릴 적 추억이 담긴 장난감에 열광하는 키덜트가 늘어나면서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이미지 확대
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의 ‘2014서울키덜트페어’ 전시장. 유리 상자에 전시된 일본 로봇 ‘건담’을 들여다보던 정일포(47·회사원)씨의 입에서 탄성이 터졌다. 옆에 있던 아들의 눈도 반짝거렸다. 월차를 내고 아들과 함께 전시장을 찾은 정씨는 “시간이 날 때 아들과 ‘건프라’(건담+프라모델)를 함께 조립하는 게 유일한 낙”이라며 “마징가Z와 로봇태권V에 푹 빠졌던 어린 시절이 생각난다”고 말했다. 피규어(관절이 있어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든 장난감)가 전시된 부스를 찾은 김정환(35·회사원)씨는 “여러 종류의 피규어를 수집하고 있다”면서 “30만원 전후의 정밀 피규어는 한정판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나중에 가격이 2배쯤 뛰고 재테크 재미도 쏠쏠하다”고 설명했다.

어린이 같은 감성과 취향을 지닌 어른을 뜻하는 ‘키덜트’(Kid+Adult·아이와 어른의 합성어) 문화가 주목받고 있다. 전시 주최 측에 따르면 지난 6일 개막 이후 1만여명이 다녀갔으며 행사가 끝나는 10일까지 5만여명이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백지혜 키덜트페어 기획전시팀장은 “키덜트 관련 제품 시장 규모는 연간 5000억원에 이른다”고 말했다.

특히 경제력 있는 20~40대 키덜트들은 수십만원에서 수백만원에 이르는 한정판 프라모델과 피규어, 무선조종(RC) 자동차를 손에 넣기 위해 서슴지 않고 지갑을 연다. 이날 미국 만화업체 마블코믹스의 캐릭터 제품 코너에서는 최고 1600만원이나 하는 어른 크기의 아이언맨과 헐크, 배트맨 피규어 구입 문의가 끊이지 않았다. 무선조종 헬리콥터 매장에는 2000만원짜리 초고가 제품도 전시됐다. 매장 관계자는 “200만원 안팎의 제품은 하루 수십대씩, 1000만원 이상 제품도 하루 2~3대쯤 팔린다”고 귀띔했다.

일각에서는 수백만원짜리 장난감에 열광하는 ‘철없는 어른’쯤으로 폄훼하기도 하지만 전문가들의 시각은 다르다. 소득 수준이 높아지고 사회의 다양성이 증가하면서 자연스럽게 키덜트가 생기고 있다는 것이다. 황상민 연세대 심리학과 교수는 “아동기에 자기 나름의 문화를 구축했던 이들이 어른이 된 뒤 다시 그때의 문화를 소비하려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김경훈 한국트렌드연구소장은 “국민소득이 1만 달러를 넘어서면 취미 시장이 성장하고 특히 수집 분야가 급성장한다”면서 “키덜트는 소비를 통해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고 남에게 인정받고 싶은 이들에게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강조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4-08-09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