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정국 기로] “수액 맞고 정신 차려 다시 광화문에 갈 것”

[세월호정국 기로] “수액 맞고 정신 차려 다시 광화문에 갈 것”

입력 2014-08-25 00:00
업데이트 2014-08-25 01: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민 아빠 “루머 신경 안 쓴다”…동조 단식 김장훈씨 병원 이송

“수액을 맞고 정신을 많이 차렸습니다. 빠른 시일 내 광화문에 나가겠습니다.”

세월호 참사 진상 규명을 위한 세월호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며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단식농성을 벌이다 40일째인 지난 22일 병원으로 이송된 고 김유민양 아버지 김영오(47)씨는 24일 페이스북을 통해 자신의 안부와 함께 단식농성 재개 계획을 밝혔다. 김씨는 자신을 둘러싼 루머 등에 대해서는 “떳떳하니까 신경 안 쓴다”면서 “특별법만 보고 달리자”고 독려했다.

단식농성에 동참하는 시민들은 계속 늘고 있다. 세월호 참사 국민대책회의에 따르면 광화문광장에서 하루 이상 동조 단식에 참여한 시민은 이날 현재까지 2800여명으로 집계됐다. 온라인을 통해 지지 단식을 선언한 시민들도 2만 5000여명에 이른다. 광화문광장에서 이틀째 동조 단식을 하고 있는 자영업자 김모(54)씨는 “유민양 아버지가 40일 넘도록 단식을 이어 가는 모습을 보고 죄책감이 들어 (단식에) 동참하게 됐다”면서 “시민들의 힘과 의지로 세월호특별법을 제정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광화문광장 동조 단식에 이어 지난 8일부터 집에서 2차 단식에 들어간 가수 김장훈씨가 이날 오후 쓰러져 서울의 한 병원으로 옮겨졌다. 김씨 측 관계자는 “공황장애까지 심해졌다”고 밝혔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14-08-25 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