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 합법유지 결정에 반발, 고용부 변호인 집단사임

전교조 합법유지 결정에 반발, 고용부 변호인 집단사임

입력 2014-09-22 00:00
업데이트 2014-09-22 17: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변호사 10명 사임계…”현 재판부 공정한 판결 기대 어려워”

서울고법이 ‘법외노조 통보’ 효력을 정지해달라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의 신청을 받아들이고, 근거조항인 교원노조법에 대해 위헌법률심판을 제청한 데 대해 정부 측 변호인단이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22일 법조계에 따르면 그간 고용노동부 측 대리를 맡아온 법무법인 케이씨엘과 아이앤에스, 정부법무공단 소속 변호사 10명은 이날 저녁 단체로 사임계를 내기로 했다.

변호인단은 “전교조와 관련한 서울고법의 결정은 실체적, 절차적 부당성과 편향성이 명백해 도저히 수용할 수 없다”며 “현 재판부 하에서는 공정한 판결을 기대하기 어려워 강력한 항의의 표시로 대리인 지위를 일제히 사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변호인단은 “대법원이 이미 2012년 교원노조법 2조에 따른 조합원 자격에 해직자는 포함되지 않는다는 판결을 내린 바 있다”며 “이런 대법원 판단을 하급심이 따르지 않은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변호인단은 “전교조는 당시에도 교원노조법 2조가 위헌이라는 주장을 개진했지만, 항소심에서 교원의 지위를 법률로 정하게 한 헌법 31조 6항이 우선 적용된다는 헌재 기존 결정을 근거로 이를 배척했고, 대법원이 이를 최종 확정했다”고 강조했다.

전교조가 해고자를 조합원으로 두도록 한 규약을 시정하라는 고용부의 명령에 반발해 제기한 이 소송에서 대법원은 항소심 판결을 그대로 확정 지었다.

변호인단은 또 “위헌법률심판을 제청하면 헌재 결정 시까지 가부 결정을 유보해야 하므로, 집행정지에 대해서도 결정을 유보했어야 한다”며 “서울고법 재판부는 위헌법률심판 제청이라는 중요한 결정을 하면서 고용부가 반박할 기회도 제대로 주지 않았다”고 반발했다.

이들은 “위헌법률심판제청이 집행정지 인용 사유라는 법리도 없다”며 “재판부 결정의 부당함에 대한 항의로 사임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