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고대 대입전형 대입간소화 정부방침 어겨”

“연·고대 대입전형 대입간소화 정부방침 어겨”

입력 2014-09-25 00:00
업데이트 2014-09-25 14: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교육걱정, 서울시내 15개 대학 대입전형 분석결과 발표

연세대와 고려대가 수시모집에서 특기자전형을 늘리는 등 정부의 대입전형 간소화 방침을 어긴 것으로 드러났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이하 사교육걱정)은 25일 서울시내 15개 대학의 2014∼2016학년도 입학전형을 분석한 결과 12개 대학이 교육부의 대입 전형간소화 방침을 전체적 혹은 부분적으로 위배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 대상 학교는 건국대, 경희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 홍익대다.

사교육걱정은 해당 대학의 입학전형에서 특기자 전형과 논술전형의 축소 여부, 수시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 최저학력기준 완화 여부를 살폈다.

교육부가 지난해 발표한 ‘대입전형 간소화 및 대입제도 발전방안’의 주요 내용이 실제로 대학에 반영됐는지를 점검하기 위해서다.

당시 교육부는 2015학년도부터 ▲ 수시 모집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완화하고 ▲ 특기자 전형 모집 규모를 축소하거나 학과 특성상 불가피한 경우만 제한적으로 운영하며 ▲ 논술고사를 가급적 시행하지 않도록 했다.

분석 결과 수시에서 특기자전형 모집인원이 차지하는 비율은 15개 대학평균 2014학년도 12.1%에서 2015학년도 7.5%로 대폭 줄었으나 2016학년도엔 7.0%로 감소세가 미미했다.

특히 연세대는 2014학년도 34.2%에서 2015학년도에 33.0%로 낮아졌다가 2016학년도에는 36.4%로 올라 2014학년도보다 오히려 더 높아졌다.

고려대도 특기자전형 비율이 2015학년도에 17.9%로 전년보다 낮아졌다가 2016학년도에는 18.4%로 반등했다.

이 두 대학은 건국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중앙대, 홍익대가 2016학년도에 특기자전형을 폐지한 것과 대조됐다.

수시에서 논술위주 전형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4학년도 34.9%에서 2015학년도 31.8%, 2016학년도 28.8%로 감소세가 이어졌다.

그러나 연세대는 15개 대학 중 유일하게 2016학년도에 논술 모집의 비율이 증가했다.

성균관대(48.2%), 한국외대(42.6%), 고려대(37.2%), 서강대(35.5%) 등은 논술로 뽑는 인원 비율이 높았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완화하라는 정부 방침에도 불구하고 연세대, 고려대 등 8개 대학은 오히려 최저학력기준을 강화했다.

이들 대학은 반영하는 수능 영역을 늘리거나 수능 등급을 올리는 방식으로 최저학력기준을 강화했다.

사교육걱정은 “정부 방침을 위배한 12개 대학은 즉각 대입전형을 시정해야 한다”며 “특히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으로 선정돼 지원을 받은 연세대와 고려대는 2015학년도 대비 2016학년도에 대입전형 개선이 거의 없거나 악화됐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