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양어선에 동남아인 유입 증가…처우는 소홀

원양어선에 동남아인 유입 증가…처우는 소홀

입력 2014-12-07 00:00
업데이트 2014-12-07 14: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번 출항하면 몇 개월씩 이어지는 고된 노동으로 내국인에게는 이미 기피업종이 돼버린 원양어업에 동남아 선원의 유입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지난 1일 러시아 서베링해에서 침몰한 ‘501 오룡호’에 탄 선원 59명 중 외국인 선원은 48명이다.

이중 인도네시아 출신이 35명, 나머지 13명은 필리핀 출신이다.

이들 선원 중 현재 21명이 사망했고 21명이 실종 상태다.

오룡호와 같이 원양어선을 탄 외국인 선원은 보통 국내 취업비자 없이 배를 탄다.

비전문 취업(E9), 선원 취업(E10) 등 취업비자로 국내로 들어오는 외국인 선원과 달리 원양어선 외국인 선원은 국내 선원법이나 근로기준법 적용을 받지 않는다.

이들은 산재나 사망 시 자국법과 송출업체의 계약조건에 따라 보상금을 받게 되지만 보상의 기준이 되는 월급이 적은 상황에서 보상액이 크지 않다는 것이 원양업계의 전언이다.

원양어선 외국인 선원의 최저 임금은 423달러로 50만원선이다.

이 때문에 원양어선 외국인 선원 측은 사고나 산재가 발생하면 자국 정부를 통해 선사로부터 위로금을 많이 받으려고 압박하는 사례가 많다.

사조산업 측은 실제 최근 인도네시아 영사관으로부터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회의 전까지 선원 시신 1구라도 자국으로 보내지 않는 등 소홀한 대우를 한다면 부산을 방문하는 조코 위도도(Joko Widodo)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직접 선사를 방문하겠다는 연락을 받았다고 밝혔다.

인도네시아 현지에서는 30명이 넘는 역대 원양어선 최악의 사고가 났다며 정부가 총력 대응을 하며 일부에서는 반한 감정까지 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수일 부산 인도네시아센터 이사장(전 인도네시아 명예영사)은 “실종, 사망한 인도네시아 선원이 35명이 되는 사실로 인해 인도네시아 현지의 분위기가 격앙돼 있다”며 “특히 선진국이라는 한국에서 36년이나 된 노후선박으로 어떻게 조업을 할 수가 있느냐는 등 국가 위신이 실추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주노동자 시민단체인 사단법인 ‘이주민과 함께’는 실종된 ‘501 오룡호’ 외국인 선원에 대한 처우와 보상 문제 등에 대해 지속적 모니터링을 하겠다고 나서기도 했다.

2014년 선원 선박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원양어선에서 일한 외국인 선원은 4천298명으로 2006년 3천719명 이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원양어선, 외항선, 내항선 등 전체 외국인 선원은 2만789명으로 2006년 8천889명에 비해 3배 이상 늘었다.

국적별 외국인 선원은 인도네시아 출신이 6천73명으로 가장 많았고 필리핀(5천175명), 미얀마(3천687명), 베트남(3천282명), 중국(2천341명) 순이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