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제주도 산간에 대설경보가 내려진 가운데 최고 151㎝의 눈이 쌓이는 등 많은 눈이 내려 한라산 정상 등반이 통제됐다.
한라산을 횡단하는 도로가 통제되고 일부 도로의 경우 대·소형차량은 월동장구를 갖춰야 운행할 수 있는 등 출근길 혼잡도 예상된다.
제주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현재까지 한라산의 지점별 적설량은 윗세오름 151㎝(신적설 12㎝), 진달래밭 145㎝(〃 10㎝), 어리목 44㎝(〃 5㎝) 등이다.
적설과 결빙으로 이날 오전 4시 30분 현재 1100도로 전 구간에 소형차량 운행이 통제됐고 대형차량은 월동장구를 갖춰야 운행할 수 있다.
서성로와 제1산록도로, 제2산록도로, 5·16도로는 전 구간 또는 일부 구간에 걸쳐 소형·대형차량 모두 월동장구를 갖춰야 운행할 수 있고 평화로, 한창로, 남조로, 비자림로 등 일부구간의 경우 소형차량은 체인을 감아야 다닐 수 있다.
기상청은 앞으로 산간에는 1∼5㎝, 산간을 제외한 지역에는 1㎝ 내외의 눈이 더 내릴 것으로 내다봤다.
기상청은 이날 오전 7시를 기해 제주에 내려진 강풍주의보와 제주도 앞바다·남해 서부 서쪽 먼바다 등 해상의 풍랑주의보를 해제했다.
또 제주도 남쪽 먼바다에 내려진 풍랑경보를 풍랑주의보로 하향 조정했다.
기상청은 이 해역에 북서풍 또는 북풍이 초속 12∼16m로 불고 2∼4m 높이의 파도가 일겠다고 예보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중산간 도로 등을 지나는 차량들은 내린 눈이 얼어 도로가 미끄러운 곳이 많겠으니 교통안전 등 각종 안전사고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육상과 해상에 내려진 강풍·풍랑특보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고 육상에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불겠으니 건강관리와 시설물관리에 유의해야 한다”며 “해상에는 물결이 매우 높게 일고 강한 바람이 불겠으니 항해나 조업하는 선박은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한라산을 횡단하는 도로가 통제되고 일부 도로의 경우 대·소형차량은 월동장구를 갖춰야 운행할 수 있는 등 출근길 혼잡도 예상된다.
제주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현재까지 한라산의 지점별 적설량은 윗세오름 151㎝(신적설 12㎝), 진달래밭 145㎝(〃 10㎝), 어리목 44㎝(〃 5㎝) 등이다.
적설과 결빙으로 이날 오전 4시 30분 현재 1100도로 전 구간에 소형차량 운행이 통제됐고 대형차량은 월동장구를 갖춰야 운행할 수 있다.
서성로와 제1산록도로, 제2산록도로, 5·16도로는 전 구간 또는 일부 구간에 걸쳐 소형·대형차량 모두 월동장구를 갖춰야 운행할 수 있고 평화로, 한창로, 남조로, 비자림로 등 일부구간의 경우 소형차량은 체인을 감아야 다닐 수 있다.
기상청은 앞으로 산간에는 1∼5㎝, 산간을 제외한 지역에는 1㎝ 내외의 눈이 더 내릴 것으로 내다봤다.
기상청은 이날 오전 7시를 기해 제주에 내려진 강풍주의보와 제주도 앞바다·남해 서부 서쪽 먼바다 등 해상의 풍랑주의보를 해제했다.
또 제주도 남쪽 먼바다에 내려진 풍랑경보를 풍랑주의보로 하향 조정했다.
기상청은 이 해역에 북서풍 또는 북풍이 초속 12∼16m로 불고 2∼4m 높이의 파도가 일겠다고 예보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중산간 도로 등을 지나는 차량들은 내린 눈이 얼어 도로가 미끄러운 곳이 많겠으니 교통안전 등 각종 안전사고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육상과 해상에 내려진 강풍·풍랑특보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고 육상에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불겠으니 건강관리와 시설물관리에 유의해야 한다”며 “해상에는 물결이 매우 높게 일고 강한 바람이 불겠으니 항해나 조업하는 선박은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