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통일 후 南北 주민 심리 분석하고 통합 대비해야”

[단독]“통일 후 南北 주민 심리 분석하고 통합 대비해야”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17-03-02 21:06
업데이트 2017-03-03 01: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평화 통일 연구’ 독일 베를린자유대 알트 총장 인터뷰

“한반도의 긴장이 고조되는 시점에 북한이 무너지는 건 위험합니다. 정치인들이 한반도 위기에 대해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대처해 우선은 안정적 통일을 이룰 조건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독일의 평화 통일을 연구한 대표적 기관인 베를린자유대의 페터 안드레 알트 총장이 2일 서울대 국제협력본부에서 서울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
독일의 평화 통일을 연구한 대표적 기관인 베를린자유대의 페터 안드레 알트 총장이 2일 서울대 국제협력본부에서 서울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
독일 베를린자유대 페터 안드레 알트(57) 총장은 2일 오전 서울대 국제협력본부에서 서울신문 기자와 만나 “독일의 경험을 볼 때 (김정남 암살 및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도 불구하고) 한반도에 위기가 장기간 지속되거나 분단이 고착화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알트 총장은 이날 열린 서울대 입학식에서 축사를 하기 위해 방한했다. 베를린자유대는 독일 10대 대학 중 하나로, 1948년 동·서독 분단 당시 동베를린의 베를린훔볼트대에 있던 교수들이 서베를린으로 장벽을 넘어와 설립했다. 분단 이후 동독연구소를 운영하며 평화 통일을 연구한 대표적 기관이다.

알트 총장은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기 하루 전날까지 동독과 서독이 통일된다고 상상도 못 했다”면서 “지금 한반도 상황이 평화 통일에서 멀어지는 것 같지만 항상 통일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독일도 1990년 통일 직전까지 평화를 향해 전진과 후퇴를 반복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서독이 1960년대 말 동독과 화해 정책을 펴면서 긴장이 완화됐지만 이후에도 크고 작은 충돌이 계속됐다”며 “1980년대 말 동유럽 공산주의 국가들이 변화하면서 동·서독이 예상도 못한 상태에서 통일 국면에 들어갔다”고 설명했다.

알트 총장은 “자본주의 체제에서 성장한 사람과 사회주의 체제에서 성장한 사람은 심리적 구조가 다르며, 특히 독재정권을 겪은 사람은 트라우마가 있을 수 있다”며 “남북한의 사회경제적 격차를 연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남북한 주민을 사회심리학적, 정신분석학적으로 분석해 이들을 통합시킬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그는 이런 분단 문제를 해결하는 데 대학의 객관적 연구가 중요하다고 했다. 알트 총장은 “베를린자유대는 동·서독 갈등과 관련된 정치적·이념적 문제를 사실 관계에 입각해 객관적으로 접근해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논의의 토대를 제공했다”며 “이를 통해 평화 정착에 기여할 수 있었다”고 소개했다.

최근의 국제 정세에 대해 알트 총장은 “전 세계적으로 고립주의와 자국우선주의가 득세하는 상황인데 대학과 학계가 서로를 연결해 주는 ‘다리 역할’을 해야 한다”며 “대학 간 학문적·인적 교류를 활발히 해 협력 관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그는 “최근 한국 대학들이 저조한 취업률을 이유로 인문학과를 폐지한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인문학은 교사나 학자를 키우는 것이 아니라 자신과 사회를 성찰하고 타인과 소통할 수 있는 인재를 길러내는 학문으로, 성찰과 소통은 정치 지도자와 기업가가 가져야 할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며 안타까움을 나타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7-03-03 1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