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살 된 독도 숲에 싱그러운 봄빛

네 살 된 독도 숲에 싱그러운 봄빛

김상화 기자
김상화 기자
입력 2017-04-11 23:18
업데이트 2017-04-11 23: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울릉군, 사철나무 등 동도 심어 85% 안착… 1m 이상 성장

“4년 전 독도(동도)에 심은 어린 묘목들이 벌써 허리춤까지 컸습니다.”

경북 울릉군 울릉읍 독도이사부길 55 독도경비대(동도) 소속 김승주(22) 상경은 11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천연기념물 제336호인 우리 땅 독도에서 나무들이 자라는 것을 보면서 독도 사랑 정신을 더욱 키우고 있다”고 힘줘 말했다.

독도경비대원들의 이런 뜨거운 독도 사랑은 나무 없는 삭막한 암초의 독도경비대 인근에 최근 들어 제법 푸른 숲이 가꿔져 푸름을 더해가고 있기 때문이란다. 나무를 심어 푸른 독도를 만들려는 울릉군의 노력이 성과를 내고 있다.

울릉군은 2013년 문화재청 허가를 받아 독도 동도에 있는 경비대 경사면 유류탱크 주변 440㎡에 사철나무 2700그루, 섬괴불나무 810그루, 보리밥나무 450그루 등 모두 3960그루를 심었다. 묘목은 독도와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사철나무 등을 꺾꽂이해 울릉도 육묘장에서 2~3년 동안 키운 키 10~15㎝의 것들이다.

1996년 문화재청이 독도 환경 및 생태계 교란 등을 이유로 독도 나무 심기와 관련한 입도를 불허한 뒤 17년 만이었다. 특히 동도에 묘목을 심은 것은 이례적이다. 이 중 85% 정도가 뿌리를 내렸으며, 대부분 1m 이상 자랐다. 그동안 군은 독도에 배가 접안할 때마다 물을 싣고 가서 나무에 주고 잡초를 제거하는 등 정성을 들였다.

김 상경은 “해풍으로 인해 침식된 독도 다른 곳으로 나무 심기가 확대돼 독도가 푸름을 자랑하고 실효적 지배에도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나타냈다.

울릉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17-04-12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