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난리 때 걸치고 나온 옷 사흘째…3끼 모두 라면”

“물난리 때 걸치고 나온 옷 사흘째…3끼 모두 라면”

입력 2017-07-19 09:59
업데이트 2017-07-19 1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폭우 피해 청주 미원 운암리 노인들 복구·지원 안 돼 ‘고통’ 가재도구 다 떠내려가 옷·먹거리 없어…찜통 마을회관서 ‘쪽잠’

지난 16일 쏟아진 300㎜의 기록적인 폭우로 집에 물이 들이 차 졸지에 ‘수재민’이 된 청주 농촌 지역 주민들은 사흘째 같은 옷을 입고, 3끼를 모두 라면으로 때우고 있다.

똑같은 수해를 당했지만 도심에 비해 관심을 받지 못하는 바람에 침수 피해 시설 복구며 응급품 지원이 안 되는 ‘구호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농촌 수재민들은 그래서 폭우로 인한 고통이 더욱 크다.

19일 아침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운암리 마을회관에 6명의 어르신이 모여 있었다.

노인 여섯 명 중 가장 ‘젊은’ 문성심(71·여)씨가 라면 2개를 끓여 그릇 6개에 나눠 담았다.

사흘째 매 끼니를 라면으로 때우고 있는 노인들의 표정은 어두웠다. 방구석 한쪽에는 생수가 수북이 쌓여 있었다.

간이 식탁에는 라면이 담긴 그릇과 수저뿐이었다. 다른 반찬은 고사하고 김치조차 없었다.

문씨는 “된장, 고추장 다 물에 떠내려가고 먹을 것이라고는 라면밖에 없다”면서 “라면도 넉넉지 않아 조금씩 나눠 먹으며 겨우 연명하는 처지”라고 전했다.

청주 도심에서 24㎞가량 떨어진 이 농촌 마을에는 음식이나 생필품을 살 수 있는 상점이 없다. 마을에 하나뿐인 슈퍼도 물에 완전히 잠겼다.

식사하던 문씨는 “운전할 차와 사람도 없고, 중국집 배달도 멀어서 안 된다”며 “물난리에 몸만 겨우 빠져나왔는데, 이럴 줄 알았으면 김치 한 통 가지고 나올 걸 그랬다”고 쓴웃음을 지었다.

총 12가구가 사는 이 마을 옆으로는 편도 1차선 도로를 끼고 달천이 흐르고 있다.

지난 16일 300㎜ 폭우가 내리면서 하천이 순식간에 불어났다. 1층 주택 천장까지 차오를 정도로 불어난 물이 마을을 휩쓸었다.

수마가 할퀴고 간 마을 골목은 냉장고, 보일러, 식기 등 가재도구와 가전제품이 산더미처럼 쌓였다. 진흙 냄새와 물비린내가 마을을 뒤덮었다.

마을 곳곳에 생긴 물웅덩이에는 불어난 하천물에 떠내려온 물고기가 힘겹게 숨 쉬고 있었다.

80㎡ 규모 마을회관은 다른 곳보다 2m가량 높은 언덕에 위치해 사상 최악의 수해를 면했다.

전기·수도가 모두 끊겼지만, 마을회관에는 태양광 발전시설 덕에 선풍기 2대가 쉴 새 없이 돌고 있었다.

비가 멈추고 찾아온 더위에 마을회관은 ‘찜통’ 그 자체였다. 19일 오전 11시부터는 충북에 폭염주의보가 발효한다.

이재민들은 세탁기가 없어 제대로 씻지도 못한 채 피난 온 옷차림으로 사흘째 생활하고 있다.

밤에는 이곳에서 이재민 10여명이 쪽잠을 잔다. 덮고 잘 이불도, 바닥에 깔 요도 없다. 복구 작업을 도우려고 모인 이재민들의 가족들은 차 안에서 잠을 청한다.

노인회장 안제훈(83)씨는 “도시에서 멀어서 그런지 구호 물품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라면서 “당장 먹을 반찬과 갈아 입을 옷을 절실하다”고 하소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