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MB가 뇌물 주범’ 판단, 측근들 자백이 결정적 단서

검찰 ‘MB가 뇌물 주범’ 판단, 측근들 자백이 결정적 단서

신성은 기자
입력 2018-02-05 15:06
업데이트 2018-02-05 15: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집사’ 김백준, 구속 후 ‘MB 지시’ 상세히 진술…김주성 ‘독대’ 진술도 뒷받침

검찰이 5일 이명박 전 대통령을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수수의 공범이자 주범으로 지목하면서 이 전 대통령에 대한 처벌 의지를 공개적으로 드러냈다.

이 같은 검찰의 판단에는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 등 오랜 측근들의 진술이 중요한 근거가 됐다.

이 전 대통령의 ‘집사’로 불릴 정도로 오랜 기간 그의 공적·사적 생활을 챙겨온 김 전 기획관은 지난달 13일 검찰 소환 조사 때와 같은 달 16일 법원의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 당시 금품 수수 사실을 일관되게 부인했다.

검찰 역시 김 전 기획관과 이 전 대통령의 밀접한 관계를 고려할 때 그의 입을 단기간 내에 열기는 쉽지 않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법원이 구속영장을 발부하고 결국 구치소에 갇히는 상황이 되자 김 전 기획관의 태도가 조금씩 변하기 시작했다.

그는 계속된 검찰의 추궁과 국정원 측 관계자와의 대질 신문 등을 거치며 금품 거래 사실을 인정하기 시작했다. 이어 기소를 얼마 앞두지 않은 시점에는 그간 함구하고 있던 이 전 대통령의 특활비 수수 지시와 용처 등까지 상세히 털어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그의 진술 등을 바탕으로 이 전 대통령이 특활비 수수 범행을 기획하고 지시한 주범으로, 김 전 기획관은 지시에 따른 단순 방조범으로 판단했다.

특히 국정원이 보낸 4억원의 특활비 중 김 전 기획관이 자신의 몫으로 갖거나 자기 뜻대로 쓴 돈이 사실상 없었던 점에서 검찰은 김 전 기획관을 방조범으로 봤다.

김 전 기획관 외에도 이 전 대통령의 친형 이상득 전 의원과 가까운 것으로 알려진 김주성 전 국정원 기조실장의 ‘독대’ 진술도 검찰의 판단을 뒷받침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실장은 최근 검찰 조사에서 2008년 류우익 당시 대통령 비서실장을 통해 이 전 대통령을 독대하고, 특활비 지원이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취지의 ‘진언’을 했다고 진술했다.

이 전 대통령 측은 “국정원 실장급 인사가 대통령과 독대를 한다는 것은 허무맹랑한 이야기”라고 반발했으나 검찰 관계자는 이날 “독대 사실은 김 전 실장의 진술로만 나온 얘기가 아니다”라고 못 박았다. 이 전 대통령이 국정원과의 특활비 거래를 알고 있었다는 점은 김 전 실장의 진술을 비롯한 여러 증거로 입증된다는 것이다.

한편, 김 전 기획관과 마찬가지로 이 전 대통령을 오랜 기간 근접 보좌하며 ‘분신’으로 불렸던 김희중 전 청와대 제1부속실장의 경우 아예 처음부터 자신의 범행을 인정하고 이 전 대통령을 ‘윗선’으로 지목했다.

특히 그는 지난달 19일 언론 인터뷰를 통해 국정원 측에서 받은 10만 달러(현재 약 1억870만원)를 미국 국빈 방문 전 김윤옥 여사 보좌진에게 전달했다고 폭로하며 “이 전 대통령이 책임을 지는 모습을 보여줬으면 좋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가신’들과 국정원 내부 관계자 등의 자백성 진술을 확보한 검찰은 평창 동계올림픽이 폐막 전까지 다스 실소유주 의혹, 국정원·군 사이버사 정치관여 의혹 등 이 전 대통령 관련 수사를 차근차근 진행한 뒤 소환 조사 계획을 세울 것으로 보인다.

법조계에서는 이 전 대통령에 대한 직접 조사가 2월 말∼3월 초가 될 것이라고 관측도 제기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