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가지 요금’에 올림픽 손님 떠났다…대규모 공실 사태 현실로

‘바가지 요금’에 올림픽 손님 떠났다…대규모 공실 사태 현실로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2-09 17:20
업데이트 2018-02-09 17: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개막일에도 텅텅 비어…업주들 “깎아줄 테니 예약해라” 권유

“공시가격이 20만원인데 깎아드릴게요. 기대 많이 했는데 예약도 안 차고 손님이 없습니다…”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일인 9일 개최도시인 강릉과 평창은 세계인의 축제 분위기로 떠들썩하지만, 숙박업주들 목소리에서는 답답함이 묻어 나왔다.

특수를 노린 숙박업소의 과다한 가격책정으로 ‘바가지 올림픽’이라는 여론이 일면서 관람객들이 등을 돌린 탓이다.

빙상 경기가 열리는 강릉의 한 숙박업주는 “원래는 더 받으려고 했는데 깎아드릴게요”라며 숙박을 권유했다.

불과 2∼3달 전만 해도 올림픽 기간 예약문의에 되레 당일치기를 권하며 예약을 만류했던 모습과 180도 다른 모습이다.

다만 강릉지역의 경우 인기 종목인 빙상경기가 시작되면 수요가 늘어 비싸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다른 숙박업주는 “빙상 경기가 시작되면 손님이 많아져서 비싸질 수도 있으니 지금 예약을 해라”고 말했지만 “만약 지금과 비슷하다면 원래 가격보다 5만원 깎아드리겠다”며 여지를 남겼다.

올림픽 주 무대인 평창지역 역시 사정은 비슷했다. 한 펜션은 10만원도 채 되지 않은 가격에 내놨지만, 올림픽 기간 손님이 없어 예약에 걸림돌은 전혀 없었다.

한 모텔 역시 “화장실 보수공사를 한 방이 조금 더 비싸지만, 올림픽 기간 내내 10만원∼12만원 가격은 같다”고 말했다.

강원도가 집계한 이달 2일 기준 ‘올림픽 기간 중 숙박업소 계약현황’을 보면 개최 시·군과 배후도시 등 10개 시·군의 계약률은 업소 수(3천845개소) 기준 25%(946개소)다.

객실 수(6만4천796개)로 따지면 45%(2만9천244개)로 조금 더 높지만, 절반도 채 넘지 못했다.

올림픽 경기가 열리는 강릉·평창·정선의 계약률은 업소 수 기준 각각 35%, 38%, 16%이며 객실 수 기준으로는 57%, 72%, 37%다.

몇 없는 관광호텔이나 콘도 등 상대적으로 시설이 좋은 곳만이 100%에 가깝게 손님을 받았을 뿐 일반호텔이나 여관, 게스트하우스, 펜션 등은 50% 안팎이다.

원주·동해·속초·삼척·횡성·고성·양양 등 배후도시 계약률 역시 관광호텔이나 콘도 정도만 이용할 뿐, 다른 숙박시설 계약률은 거의 0%에 수렴했다.

평균 요금은 강릉 9만5천원∼21만9천원, 평창 14만5천원∼24만원, 정선 8만8천원∼13만원으로 ‘한탕주의’가 극성을 부릴 때인 50만원대와 비교하면 안정됐으나 등 돌린 관람객은 돌아오지 않았다.

투숙일이 임박해야 숙박예약이 늘어나는 관행과 다르게 올림픽 개막일까지도 비어있는 방이 수두룩하다.

대규모 공실 사태가 현실로 일어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지난해 숙박업소의 바가지요금이 이슈가 되며 올림픽 흥행에 장애요소가 된다는 부정적인 여론이 일면서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에 강릉에서는 올림픽파크 주변으로 손님을 찾는 현수막이 곳곳에 내걸리기도 했다.

경기장과 엎어지면 코 닿을 곳에 있어 인기가 높을 것으로 예상하는 펜션과 원룸 등도 현수막까지 내걸고 손님 찾기에 나선 것이다.

입이 떡 벌어질 정도로 천정부지의 바가지요금 논란이 불거졌던 것에 비하면 격세지감이다.

오영환 대한숙박업 평창군지부장은 “일부 업소들의 과다한 요금정책으로 모든 업소가 그런 것처럼 피해를 보고 있다”고 호소했다.

그는 “올림픽 시설 주변 숙박업소는 수요가 많은 탓에 방을 구하기 어렵겠지만, 주변으로 조금만 눈을 돌리면 지금도 싸고 괜찮은 곳이 얼마든지 많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