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체대인가, 군대인가 꿈도 짓밟힌 신입생

[단독] 체대인가, 군대인가 꿈도 짓밟힌 신입생

김정화 기자
입력 2019-04-05 02:10
업데이트 2019-04-05 02: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다나까’ 말투 강요… 새벽 집합… 머리 박기…

이미지 확대
숭실대 고발로 본 도 넘은 학내 군기

올해 ‘체육계 미투’ 폭로가 쏟아지며 한국 스포츠계의 억압적 위계질서가 사회적 논란이 됐다. 하지만 일선 대학 체대의 일명 ‘똥 군기’ 문화(선배가 후배에게 가혹행위를 하는 것)는 좀처럼 변하지 않고 있다. 최근 숭실대 학생들이 이용하는 익명 페이스북 페이지인 ‘숭실대학교 대나무숲’에 스포츠학부 내 신입생 군기 문화와 부조리를 고발하는 글이 올라온 가운데 또 다른 학생이 “체대 군기 탓에 체육인이 되려는 꿈을 버렸다”고 폭로했다.

●“똥 군기 시달리다 학과도 바꿔”

숭실대생 A씨는 4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내가 좋아하는 운동을 다른 사람들에게 가르치고 싶어 재수 시절 부상도 이겨내고 원하던 학교에 입학했다”면서 “그런데 군대도 아닌 대학에서 온갖 부조리한 일을 겪은 뒤 꿈을 포기했다”고 밝혔다.

A씨는 악몽 같은 기억을 고백했다. 막 20대가 된 재기 발랄한 신입생들은 군대에서도 사라져가는 관행을 따라야 했다. 후배들은 선배들에게 말할 때 ‘~해요’ 등 일상적 말투 대신 ‘다나까’ 말투를 쓰도록 강요받았다. 카카오톡 대화방에서도 선배와 대화할 땐 ‘안녕하십니까, OO학번 OOO입니다’라고 관등성명을 먼저 말했다. 선배가 멀리 보이면 뛰어가 모자를 벗은 채 인사하라는 관행도 있었다. 얼굴을 처음 봐 지나쳤는데 ‘인사하지 않았다’며 불호령이 떨어지기 일쑤였다. A씨는 “후배 기강을 잡는다며 아침 7시에 새내기 전체를 강당에 ‘집합’ 시킨 뒤 선배들이 돌아가며 인신공격을 퍼부었다”면서 “집이 멀어 첫차를 타도 집합시간까지 학교에 도착할 수 없는 동기들은 친구 집이나 학교에서 자야 했다”고 전했다. 그는 결국 1학년이 끝난 뒤 스포츠와 관련 없는 학과로 전과했다.

앞서 ‘숭실대학교 대나무숲’에는 스포츠학부 내 신입생 대상 ‘다나까’ 말투 강요, 새벽 집합, 주머니 손 넣기 금지 등 부조리를 고발하는 글이 올라왔다.

●뿌리 깊은 폐쇄성… 인재 이탈의 원인

체대 군기는 고쳐지지 않는 고질병이다. 지난해 경기대 스포츠과학부는 신입생을 대상으로 정문 앞 술집 출입 금지, 선배에게 술 받을 때마다 관등성명 외치기 등 ‘행동 통제 강령’을 시행해 논란이 됐다. 고려대 농구부와 한국체육대 수영부에서는 신입생에게 땅바닥에 머리 박기, 엎드려뻗치기 등 가혹행위를 했다. 숭실대 체대 군기는 2014년에도 폭로된 바 있다.

군기 문화 뒤에는 체대 특유의 폐쇄성이 숨어 있다. A씨는 “스포츠학부는 한 학년에 50여명뿐이라 불합리한 관행을 공개비판하면 학교생활이 불편해지고 학점 불이익도 따른다”면서 “교수들도 문제를 알지만 묵인하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잘못된 군기 문화 탓에 체육계 인재가 중도이탈하고 결국 체육계 역량이 떨어지게 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경렬 체육시민연대 사무국장은 “체육학과에는 ‘우리는 하나’라는 인식 속에 단체 생활과 집합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문화가 아직도 남아 있다”면서 “학교와 교수가 나서 악습을 바꿨던 중앙대 등의 사례처럼 학교 본부 차원에서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2019-04-05 1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