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연속 네 자릿수” 신규확진 1776명...수도권 4단계 연장될 듯

“30일 연속 네 자릿수” 신규확진 1776명...수도권 4단계 연장될 듯

임효진 기자
입력 2021-08-05 09:58
업데이트 2021-08-05 09: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검사 기다리는 시민들
코로나19 검사 기다리는 시민들 3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역광장에 마련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임시선별진료소에서 시민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2021.8.3 뉴스1
지난달 초 시작된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대유행 확산세가 꺾이지 않으면서 신규 확진자수가 한 달 째 네 자릿수를 기록했다.

신규확진 1776명...지역발생 1717명·해외유입 59명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1776명 늘어 누적 20만5702명이라고 밝혔다.

이는 전날(1725명)보다 51명 늘어난 수치로, 신규 확진자수는 지난달 7일(1212명) 이후 30일 연속 네 자릿수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일주일(7월 30일~8월 5일) 동안 신규 확진자수는 1710명→1539명→1442명→1218명→1200명→1725명→1776명을 기록하며 1200명∼1700명대를 오르내렸다.

이날 신규확진 1776명은 국내 코로나19 사태 이후 최다 기록을 세운 지난달 28일(1895명)과 같은 달 22일(1841명), 21일(1781명)에 이어 네 번째로 큰 규모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는 지역발생이 1717명, 해외유입이 59명이다.

지역별로는 경기 475명, 서울 461명, 인천 89명 등 수도권이 총 1025명(59.7%)이다.

비수도권은 대구 120명, 부산 111명, 경남 81명, 대전·충남 각 70명, 경북 59명, 충북 45명, 강원 30명, 제주 23명, 전남 20명, 전북 19명, 광주 17명, 세종 14명, 울산 13명 등 총 692명(40.3%)이다.

사망자 3명 늘어...위중증 환자 총 369명
해외유입 확진자는 59명으로, 전날(61명)보다 2명 적다.

이들 가운데 33명은 공항이나 항만 검역 과정에서 확인됐다. 나머지 26명은 경기(12명), 서울(5명), 부산·대구·인천·세종·강원·충남·경북·경남·제주(각 1명) 지역 거주지나 임시생활시설에서 자가격리하던 중 확진 판정을 받았다.

사망자는 전날보다 3명 늘어 누적 2109명이 됐다. 국내 평균 치명률은 1.03%다.

위중증 환자는 총 369명으로, 전날(329명)보다 무려 40명 늘었다.

전날 하루 선별진료소에서 의심 환자를 검사한 건수는 4만4191건으로, 직전일 4만4229건보다 38건 적다.

검사건수 대비 확진자를 계산한 양성률은 4.02%(4만4191명 중 1776명)로, 직전일 3.90%(4만4229명 중 1725명)보다 상승했다. 이날 0시 기준 누적 양성률은 1.73%(1190만8436명 중 20만5702명)다.

현행 거리두기 연장되나...최종안 6일 발표
이미지 확대
대구에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75명 추가로 발생한 4일 오전 대구 수성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주변을 소독하고 있다. 2021.8.4 뉴스1
대구에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75명 추가로 발생한 4일 오전 대구 수성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주변을 소독하고 있다. 2021.8.4 뉴스1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현행 거리두기(수도권 4단계, 비수도권 3단계) 조치가 오는 8일 종료된다.

정부는 오는 6일 오전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다음 주부터 적용할 거리두기 단계 및 방역 조정안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다만 확산세가 이어짐에 따라 현행 거리두기 조치는 연장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전날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의료계 및 경제·사회 분야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자문기구인 ‘생활방역위원회’(생방위) 회의를 열고 거리두기 단계 조정 등 향후의 방역 대응책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위원 다수는 현재의 거리두기 단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수도권에서는 4주째 거리두기 4단계가 이어지고 있지만, 약간의 정체 양상은 있지만 감소세로 전환되지 않는 데다 비수도권으로 확산세가 퍼지면서 ‘거리두기 재연장은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는 의견이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임효진 기자 3a5a7a6a@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