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 “마음의 책임” 눈물 흘리는 박희영 용산구청장

[포토] “마음의 책임” 눈물 흘리는 박희영 용산구청장

신성은 기자
입력 2022-11-07 17:35
업데이트 2022-11-07 17: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달 29일 이태원 참사 당일 서울 용산구청 직원들이 현장에 파견돼 있었지만, 박희영 용산구청장에게는 아무런 보고가 이뤄지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박희영 용산구청장은 7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사고가 난 것을 언제 보고 받았냐”는 국민의힘 박성민 의원의 질문에 “주민에게 오후 10시 51분에 문자를 (받았다)”고 답했다.

이에 박 의원은 “현장에 공무원이 아무도 안 나갔냐”고 물었고, 박 구청장은 “배치돼 있었다”고 말했다. “구청 공무원들에게 보고를 못 받았냐”는 다시 한번 묻자 박 구청장은 “못 받았다”고 인정했다.

또 이태원 참사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지 않겠다면서도 ‘이 책임이 무엇을 의미하느냐’는 질문에는 “마음의 책임”이라고 답해 사실상 구청장직 사퇴 의사는 없음을 시사했다.

박 구청장은 현재 심경을 묻는 국민의힘 조은희 의원 질문에 “시간을 되돌릴 수 없다는 애통함과 무거운 책임감에 죄송한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며 “현장에 도착해서 긴급 구조활동을 벌이고 대책 마련을 지시했으나 역부족이었다”고 답했다.

이어 “유족들에게 또 다른 상처를 드릴까 염려해 언론의 질문에 답변도 드리지 못했다. 죄인의 심정”이라며 “구청장으로서 책임을 회피하지 않고 진상 규명에 성실하게 임하겠다”고 덧붙였다.

이태원 참사를 수사중인 경찰청 특별수사본부는 7일 박 구청장을 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로 입건했다.
온라인뉴스팀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