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가청렴도 32위… 7년 만에 순위 첫 하락

한국, 국가청렴도 32위… 7년 만에 순위 첫 하락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4-01-30 18:38
업데이트 2024-01-31 06: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상학 한국투명성기구 공동대표가 30일 서울 종로구 센터포인트 광화문 필원에서 ‘2023년 부패인식 발표’를 하고 있다. 한국은 100점 만점에 63점으로 180개국 중 32위를 차지해 전년과 비교해 한 계단 하락했다.뉴스1
이상학 한국투명성기구 공동대표가 30일 서울 종로구 센터포인트 광화문 필원에서 ‘2023년 부패인식 발표’를 하고 있다. 한국은 100점 만점에 63점으로 180개국 중 32위를 차지해 전년과 비교해 한 계단 하락했다.뉴스1
세계 각국의 국가청렴도를 평가하는 조사에서 한국이 180개국 중 32위를 차지했다. 전년보다 순위가 한 단계 떨어졌다. 한국의 순위 하락은 2016년 청탁금지법 시행 이후 처음이다.

국제 비정부기구(NGO)인 국제투명성기구는 30일 180개국의 공공·정치 부문 부패 수준을 평가한 ‘2023년 국가청렴도’를 발표했다. 한국은 100점 만점에 63점을 받아 2022년과 점수가 같았다. 하지만 아프리카 섬나라 카보베르데가 35위에서 30위로 올라서면서 한국의 순위는 떨어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는 전년과 같은 22위를 했다.

국제투명성기구는 각국의 점수가 순위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점수는 2019년 59점, 2020년 61점, 2021년 62점, 2022년 63점으로 상승세를 이어 오다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지난해 점수가 향상되지 못한 이유에 대해 국민권익위원회는 “선거관리위원회 고위공직자 자녀 특혜 채용 등 부패 문제가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유럽반부패국가역량연구센터(ERCAS)가 발표한 ‘2023년 공공청렴지수(IPI)’ 평가에선 전체 119개국 중 한국이 15위를 했다.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1위였다.

세종 이현정 기자
2024-01-31 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