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숙·상호 작용·신바람, 우리 음악교육 코드죠”

“친숙·상호 작용·신바람, 우리 음악교육 코드죠”

입력 2011-03-08 00:00
업데이트 2011-03-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구대회 입상 음악교사 3인3색 노하우

음악에는 힘이 있다. 1975년 베네수엘라 빈민가에서 시작된 음악교육 프로그램 ‘엘 시스테마’는 빈민가 아이들을 변화시켰을 뿐 아니라 구스타보 두다멜 같은 유명한 음악가를 배출하기도 했다. 음악을 연주하면서 스스로를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고 다른 사람과 함께하면서 자긍심과 창의력, 협동심을 익히게 된다. 하지만 우리 수업 현실은 이런 음악의 힘과는 거리가 있다. 음악수업을 강조하면 당장 “음악으로 대학 갈 것도 아닌데.”라는 볼멘소리가 나오기 일쑤다.

이런 척박한 음악수업 환경에서도 여러 방법으로 아이들에게 음악의 힘을 가르쳐 주는 교사들도 있다. 2010학년도 서울시교육청 교사 연구대회에서 우수 입상한 3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의 음악 활용법을 들여다봤다.

●상봉초등학교 김주선 교사

이미지 확대
서울 상봉초등학교 김주선 교사는 ‘리코더 음악하기’를 택했다. 리코더는 초등학교 학생들이 가장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친숙한 악기이기 때문이다. 리코더 연주를 통해 리듬과 가락, 화성과 형식, 셈여림과 빠르기 등을 가르쳤다. 김 교사는 “음악에 대한 흥미를 갖게 하고 자신감을 길러 궁극적으로는 창의적인 음악 표현능력을 높이는 것이 목표였다.”고 말했다. 처음에는 어려움도 많았다. 가장 친숙한 리코더였지만 연주할 때 혀를 사용하는 방법은 반 아이들의 3분의1 정도만 그럭저럭 연주할 수 있었다. 음표나 계 이름도 모르는 학생들이 적지 않았다.

김 교사는 음악의 기초를 익힐 수 있도록 교실환경을 꾸몄다. 또 음표게임 등을 만들어 자칫 딱딱하기 쉬운 음악이론을 게임과 접목시켜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음표와 쉼표의 길이, 계이름, 화음 등을 체험할 수 있게 했다. ‘리코더 이끄미’도 만들었다. 리코더를 잘 연주하는 6명을 리코더 이끄미로 정하고 이들이 리코더 배우미들에게 가르쳐 주고 함께 연습했다. 김 교사는 “혼자 연주하면 긴장하던 학생들도 친구들과 함께 연주하면서 적극적이고 자신감이 있게 변했다.”면서 “수업시간에 전혀 움직임이 없고 참여가 저조했던 학생들도 리코더를 연습하고 발표를 하면서 음악에 대한 새로운 시각은 물론 자신감과 성취감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신서초등학교 김은영 교사

이미지 확대
서울 신서초등학교 김은영 교사는 음악학자 에드윈 고든의 ‘오디에이션(Audiation) 학습방법’을 이용했다. 오디에이션이란 실제로 들리지 않는 음악을 상상하며 마음 속으로 듣고 이해하는 능력을 말한다. 김 교사는 “현재 초등학교 기악수업은 연주의 주법과 기능만 강조해 음악 표현하기가 아닌 주법 익히기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면서 “음악을 듣고 읽고 생각하며 표현하는 오디에이션 학습법을 통해 창의성을 드러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김 교사도 교실 곳곳에 음악기초이론과 음악회 소식 등을 적어 놓았다. 온라인 학급 홈페이지도 이용했다. 학급 홈페이지에 개인연주나 학급연주 모습을 담은 동영상과 사진을 올려놓았다. 또 학급악기로 정한 핸드벨로 가족들이 동요를 연주하는 ‘가족연주’도 좋은 호응을 얻었다.

학급 악기인 핸드벨은 인성교육에도 유용했다. 핸드벨은 혼자서 연주하기보다는 여러 사람이 함께 하나의 가락을 연주한다는 점에서 협동심을 기르고 상대방을 배려할 수 있는 마음가짐을 길러 인성시범학교 학급특색활동으로 꼽히기도 했다. 김 교사는 “최근에는 인터넷과 컴퓨터를 이용한 ICT교육이 활성화되면서 교사가 시범연주를 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리듬 및 가락반주 자료가 보급되어 있다.”면서 “하지만 음악의 본질인 감성의 상호작용은 교사와 학생 사이의 직접적인 호흡으로 이뤄져야 극대화된다.”고 강조했다.

●상천초등학교 김명희 교사

이미지 확대
서울 상천초등학교 김명희 교사의 반은 다른 반 아이들로부터 ‘음악특별반’이라고 불린다. 김 교사는 “국·영·수 등 학력신장이라는 이유로 음악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간과하는 경향이 많다.”면서 “음악수업을 해도 컴퓨터 등 ICT를 주로 활용하거나 교사 중심의 일방적인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말했다. 때문에 김 교사는 활동 중심의 음악 하기를 통해 재능 있고 창의적인 ‘신바람 음악리더’ 만들기에 나섰다.

아이들은 다양한 음악내용을 수집해 미니북을 만들었다. 들었던 음악내용을 주제로 매달 음악 신문도 만들었다. 자투리 시간에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창작동요와 건전가요를 부르는 노래방도 운영했다. 실감 나는 효과를 위해 대형 스피커와 마이크도 갖췄다. 또 문예진흥원과 연계해 국악 전문강사를 초빙, 전문강사의 대금, 단소 등 국악기 실제연주를 감상하면서 아이들은 국악과 친해지는 시간을 갖기도 했다. 컴퓨터 시간도 음악프로그램을 이용해 스스로 음악을 만들고 다른 아이들이 만든 곡과 비교하는 ‘내가 만드는 노래’도 운영했다. 김 교사는 “한해가 끝난 뒤 모든 반 학생들이 2마디 이상의 리듬이나 가락을 만들 수 있다고 답했다.”면서 “또 음악적 흥미도와 자신감이 크게 높아졌다.”고 말했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2011-03-08 2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