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기부’ 기업들 사회적 공헌 새 트렌드로

‘교육 기부’ 기업들 사회적 공헌 새 트렌드로

입력 2012-02-14 00:00
업데이트 2012-02-1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멘토링·강연·물품·프로그램 등 다양

‘가르침과 배움’을 연결고리로 무형의 가치를 만들어내는 교육기부가 새로운 기부문화의 흐름으로 정착되고 있다.

‘단체나 기관 및 개인이 보유한 물적·인적자원을 유·초·중등 교육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대가 없이 제공하는’ 교육기부는 멘토링이나 강연 등 재능기부는 물론 악기, 실험기구 등 장비 제공과 교육프로그램 지원 등 다양한 모습으로 활성화되고 있다.

추세에 걸맞게 기업들의 사회공헌활동(CSR)도 물품 지원이나 일회성 봉사활동에서 벗어나 교육기부제도 활성화로 확산되고 있다. 미래의 잠재적 소비자인 청소년들에게 기업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주는 등 가장 생산성 있는 기부 활동이라는 평가 때문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달 26일 고졸 취업준비생 25명을 대상으로 ‘글로벌 매너스쿨’을 개최하고 성공적인 면접과 취업준비를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전수했다. 매너스쿨은 면접에서 유리한 웃음, 인사, 자세 등 첫인상에 대한 교육을 비롯해 악수 방법 등 직장 예절에 대한 글로벌 매너, 호감을 사는 대화법 교실 등 다양한 주제로 구성됐다. 아시아나항공은 앞으로도 취업을 준비하는 고등학생들과 승무원 지망생들을 위해 ‘글로벌 매너 스쿨’을 연 2회, ‘승무원 체험교실’을 연 4회 실시할 계획이다.

삼성 엔지니어링도 지난달 4일 그동안 진행해 온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교육기부 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한 첫 시도로 교사들을 위한 녹색성장 연수를 실시했다. 이 회사 간부들이 40여명의 교사들에게 녹색성장을 위한 환경, 에너지를 주제로 강연을 했고, 교사들은 이날 배운 강연내용을 학교 현장에서 학습자료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그래픽·디지털 미디어 프로세스 업체인 엔비디아 코리아가 2009년부터 진행하는 ‘터치비주얼’ 교육기부 프로그램도 시각장애 아동들과 학부모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올해로 3년째인 터치비주얼 프로그램은 눈을 통해 보는 모든 시각적 경험을 일컫는 ‘비주얼 경험’의 소외계층인 시각장애 학생들에게 미술교육을 통해 또 다른 방식의 시각 체험을 제공하자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이 프로그램의 교육기부는 한국시각장애인 예술협회와 15명의 대학생, 대학원생들로 구성된 ‘터치비주얼 서포터스’에 의해 이뤄진다. 서포터스들은 한국시각장애인 예술협회의 ‘우리들의 눈’ 미술교육 프로그램에 보조교사로 참여하면서 시각장애 아동들과 함께 직접 그림을 그리고 찰흙을 만지면서 시각적 체험을 공유한다. 터치비주얼 프로그램을 통해 그동안 서울맹학교, 한빛맹학교 등에서 70여명의 시각장애 학생들이 스스로 창작활동을 해 왔다.

교육기부 활성화 추세에 발맞춰 기부를 하고자 하는 개인·단체와 교육기부 수혜자들을 연결시켜 주는 교육기부 박람회도 예정돼 있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다음 달 16~18일 경기 일산 킨텍스에서 ‘2012 교육기부 박람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 밖에 교육기부에 참여하고 싶은 기관 또는 개인은 교육기부시민연대(www.edugive.or.kr) 및 과학창의재단 교육기부 포털(www.교육기부.kr) 등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구할 수 있다.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2012-02-14 2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